
대구시 장마철 대비 풍수해 대책 점검회의가 열리고 있다. 대구시 제공
20일부터 남부지방에서 장마가 본격화되는 가운데, 대구시는 19일 김정기 대구시장 권한대행 주재로 시, 구·군, 유관기관 합동 풍수해 대책회의를 개최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산사태, 하천범람, 지하공간 침수 등 분야별로 추진해 온 풍수해 대책을 재점검하고, 경찰·소방 등 유관기관과의 재난 대응 작동 협조체계에 대해 논의했다.
대구시는 그간 산사태 취약지역(355개소)에 대해 주민대피훈련을 12회에 걸쳐 실시한 바 있다.
향후 기상청 강우정보와 산림청의 산사태정보시스템 예측정보를 활용해 선제적 주민대피를 실시하고, 소방·경찰 등과 협조체계를 구축해 주민대피 시 시민의 불편함을 최소화하도록 할 예정이다.
국가하천(3개소) 및 지방하천(34개소)은 호우 특보 시 산책로 등 둔치시설 출입 통제를 철저히 할 예정이다. 동촌유원지 등 과거 침수지역의 주민 대피계획도 수립했다. 특히 하천점용 공사장의 유수소통 지장물을 사전에 제거해 2차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조치했다고 시는 밝혔다.
이와 함께 반지하주택(203개소), 아파트 지하주차장(53개소), 지하상가(7개소) 등 침수우려 지하공간은 침수 방지를 위해 물막이판 설치와 수방자재를 배치하고 대피체계를 구축했다.
시는 올해부터 재난안전기동대(20명)를 취약시설 예찰 및 주민대피 활동에 투입하고, 동촌유원지 등 침수우려지역은 소방 119 특수구조대를 전진배치해 재난에 신속 대응토록 할 방침이다.
또한 산지 태양광 발전시설 82개소에 대한 안전점검을 실시하고, 자연재해위험지역 정비사업 18개 지구에 대한 주민대피계획을 수립하는 등 인명피해 우려지역 범위를 확대해 집중 관리할 계획이다.
회의에서 김정기 대구시장 권한대행은 "과거 인명피해가 발생한 지역은 시설 통제 및 주민대피 계획을 제대로 실천해 현장에서 잘 작동할 수 있도록 준비하고, 안전점검·예찰을 강화해 달라"고 당부했다.

노진실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