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남이공대와 조달청 산하 공공조달역량개발원이 최근 공공조달 분야 실무형 전문 인력 양성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영남이공대 제공>
영남이공대가 공공조달 분야의 전문성과 실무역량을 갖춘 인재 양성을 목표로 한 '공공조달학과'를 신설한다.
23일 영남이공대에 따르면 공공조달학과는 2026학년도부터 정원 내 20명, 정원 외 15명의 신입생을 모집한다. 주 대상은 성인학습자 및 재직자다. 수시 모집은 면접 100%로 진행되는 전형이며, 정시 모집은 일반 전형으로 실질적인 의지와 적성을 중심으로 평가한다. 공공조달학과는 2년제 전문학사 과정으로 운영된다.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병행하는 블렌디드 러닝 시스템을 도입해 직장인도 학업과 업무를 병행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학과 책임 교수는 i-경영회계계열 안진우 교수가 맡았고, 교수진은 공공조달 현장 경험이 풍부한 실무 전문가들을 초빙해 구성된다. 영남이공대는 향후 학과의 전문성과 교육 질을 크게 높여해 학생이 공공기관, 지자체, 민간기업의 조달 및 경영관리 분야에 진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공공조달은 정부와 공공기관의 예산 집행 투명성과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분야다. 영남이공대는 공공조달 분야에서 필요로 하는 실무형 전문 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조달청과 긴밀히 협력해 왔다. 지난 5일 조달청 산하 공공조달역량개발원과 협약을 통해 학과 개설을 본격화했다.
두 기관은 공공조달역량개발원이 보유한 현장 중심의 전문성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실습 중심의 커리큘럼을 개발하고, 학생들이 학업과 공공조달 실무를 병행할 수 있는 지원체계를 마련했다. 이에 조달청은 2026년부터 '공공조달관리사' 국가기술자격 도입을 추진 중이다. 영남이공대는 이를 반영한 커리큘럼을 구성해 학생이 전문경영학사는 물론 실무역량과 국가자격까지 취득할 수 있는체계적인 교육 환경을 제공할 계획이다.
교육과정은 공공조달역량개발원의 자문 및 협력을 기반으로 설계됐다. 정부 전자조달시스템(G2B·나라장터)의 이해와 활용, 공공계약법, 물품구매 및 용역계약 실무, 다수공급자계약 및 협상계약 실무, 정부회계, 공공조달 마케팅 등 조달 현장의 실무역량을 길러주는 강의들로 구성된다. 2026년 시행 예정인 '공공조달관리사' 국가기술자격 취득을 위한 맞춤형 교육도 포함돼 있어 신입생은 공공기관과 민간기업의 조달업무에 곧바로 적응할 수 있다.
공공조달학과 졸업생들은 △공공기관 및 지방자치단체의 조달 부서 △공공조달 컨설팅 전문기업 △공공조달 플랫폼 운영 기업 △기업 경영관리부서 등으로 진출할 수 있다. 재학 중 취득 가능한 공공조달관리사, 국가공인 원가분석사, 경영지도사 등 자격은 졸업 후 실무 현장에서 즉시 활용 가능하다.
이재용 영남이공대 총장은 "공공조달 분야는 국가 재정을 책임지는 분야로서 투명성과 공정성이 필수다. 전문성은 물론 실무 능력과 윤리의식도 겸비해야 한다"며 "학생이 졸업 후 공공기관이나 조달 관련 민간기업 등에서 전문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체계적인 교육과 지원을 이어갈 것"이라고 밝혔다.

김종윤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