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북도의회 이형식 도의원이 24일 제356회 도의회 제1차 정례회 제3차 본회의에서 5분 자유발언을 하고 있다.<경북도의회 제공>
경북도의회 이형식 도의원이 24일 열린 제356회 도의회 제1차 정례회 제3차 본회의 5분 자유발언을 통해, 경북도청 신도시 개발사업의 지연과 그에 따른 행정적 부실을 강도 높게 질타하며 도의 책임 있는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이 의원은 "도청 신도시는 2012년 개발계획이 처음 수립된 이후 현재까지 14차례에 걸친 개발계획 변경과 12차례에 이르는 실시계획 변경에도 불구하고, 도시의 모습은 여전히 제자리걸음을 반복하고 있다"며 "그로 인해 피해를 입는 것은 다름 아닌 도민"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그는 "2단계 사업 준공 시점은 애초 2024년이었으나 2026년 말로 늦춰졌고, 계획 인구 10만 명 가운데 현재 인구는 2만 2천 명에 불과하다"며 "공동주택 착공이 지연되고 있으며, 초등학교 건립과 종합병원 유치 등도 수년째 진척이 없다"고 강조했다.
이 도의원은 도청 신도시가 정식 명칭조차 없이 운영되고 있는 현실을 두고 "경북도의 행정 무관심이 빚어낸 대표적 사례"라고 질타했다.
그는 "도는 2015년 명칭 공모를 통해 457건의 제안을 접수했지만, 최종 선정을 하지 않았고, 2023년 주민 의견조사 역시 소극적 행정 속에 결론 없이 흐지부지됐다"며 "이처럼 신도시가 정체성 없이 방치돼 있다는 점은 심각한 문제"라고 꼬집었다.
공공기관 이전 현황에 대한 비판도 이어졌다. 이 도의원은 "경북도는 당초 130개 공공기관 유치를 목표로 했지만, 현재까지 이전을 완료했거나 협의 중인 기관은 111곳에 그치며, 이 중 30%는 여전히 미이전 상태"라고 지적했다.
특히 "2022년부터 추진 중인 도시첨단산업단지조차도 기업 유치나 투자 유도에 관한 구체적인 실행 방안 없이 표류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에 이 도의원은 경북도의 책임 있는 대책 마련을 요구하며 다음의 네 가지 구체적 방안을 제안했다.
▲도청 신도시 개발계획 변경 및 사업 지연에 대한 전면적인 이력 조사와 그 결과의 투명한 공개 ▲공공기관 이전을 위한 구체적인 로드맵 수립과 전담 기구 설치 ▲2025년 내 신도시 정식 명칭을 확정하고, 주민 의견을 반영한 공식 브랜드를 선포할 것 ▲주거 안정 및 필수 기반시설 확충을 위한 실현 가능한 계획 마련과 명확한 책임 주체 설정 등이다.
그는 "도청 신도시는 더 이상 행정의 실험실이자 실패한 정책의 상징으로 남아서는 안 된다"며 "경북도는 도민이 안심하고 살아갈 수 있는 진정한 자족도시로 신도시를 성장시키기 위해 지금부터라도 책임 있는 태도와 실천을 보여야 한다"고 발언을 마무리했다.
한편, 경북도청 신도시는 예천·안동 지역을 중심으로 이전한 경북도청을 중심으로 조성된 행정복합 도시로, 경북의 미래 거점도시로 육성될 계획이었으나, 각종 행정 지연과 미비한 기반 시설로 인해 도민 불만이 지속되고 있다.
지역 내에서는 "도청 신도시가 '반쪽짜리 행정도시'로 전락할 수 있다"는 우려와 함께, 보다 적극적인 경북도의 대응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피재윤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