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포항시내 전경<포항시 제공>
미국의 철강 관세 인상 등으로 심각한 위기에 빠진 경북 포항이 '산업위기선제대응지역'으로 지정될 전망이다. 철강산업 침체가 지역경제 전반으로 확산하는 것을 막기 위한 조치다. 정부는 빠르면 오는 9월 중 지정할 예정이다. 포항 산업계는 "적기 대응"이라며 기대감을 내비쳤다. 24일 정치권에 따르면 산업통상자원부는 최근 국정기획위원회에 '지역 주력 산업 위기대응' 방안을 보고하면서 경북 포항과 충남 서산의 산업위기선제대응지역 지정을 추진하고 있음을 밝혔다.
앞서 여수국가산업단지가 위치한 전남 여수가 지난달 1일 산업위기선제대응지역으로 지정된 바 있다. 정부가 석유화학 등 위기 업종뿐 아니라 철강·2차전지 등 3대 위기 업종에 대해 특단의 대책을 강구하겠다는 의지로 풀이된다. 선제대응지역으로 지정되면 매출 또는 영업이익이 10% 이상 감소한 기업에 긴급 경영안정자금이 투입된다. 또 신규 투자유치를 위한 지방투자 촉진 보조금과 수출판로 등이 지원된다. 기업 생존력 제고는 물론, 고용 유지와 지역경제 활력을 회복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포항시는 7월 중 지정 신청서를 접수할 예정이다. 정부는 관련 법과 절차에 따라 서류 검토와 현지 실사, 관계기관 협의를 진행한다. 최종 결정은 산업위기대응심의위원회에서 내린다. 김신 포항시 투자기업지원과장은 "산업위기선제대응지역으로 지정 받기 위한 관련 서류를 작업 중에 있으며, 7월쯤 정부에 신청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어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으로 지정되면 기업의 저리 융자, 수출판로, 기술 개발비 등의 지원과 공모사업 우선권이 부여된다"며 "현재 여러모로 어려움을 겪는 포항에 단비가 될 수 있도록 차질 없이 준비하겠다"고 했다.
포항 산업계도 정부의 선제적 대응 방침에 환영의 뜻을 표했다. 한 철강기업 관계자는 "경기침체와 수요 감소로 경영난을 겪는 중소·중견기업에 정부의 저리 자금과 기술 지원이 꼭 필요한 시점"이라며 "이번 지정이 실제적 효과로 이어지길 바란다"고 했다. 또 다른 중소기업 대표도 "지원이 조기에 이루어진다면 고용 유지와 수출 확대에 숨통이 트일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한편 2022년 태풍 '힌남노' 피해로 상당한 산업 피해를 입은 포항시는 같은 해 11월 산업위기선제대응지역으로 지정된 바 있다. 당시 포항시는 금융자금 지원(저리 융자)과 산업단지 노후 대개조 사업 등으로 약 1천700억원을 지원 받았다.
김기태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