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4월 상호관세 정책 발표하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연합뉴스
미국의 고관세 정책으로 지역 주력 산업인 자동차부품 산업의 북미 수출·생산 전략 조정 필요성이 제기됐다. 자동차 부품산업이 고관세의 직접적 영향을 받는 광범위하고 장기적인 피해가 예상되기 때문이다.
산업연구원은 24일 '미국 신정부의 관세 정책이 한국 자동차 산업에 미치는 영향과 시사점'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미국 트럼프 정부는 지난 4월 3일부터 한국을 포함해 수입산 자동차에 25%의 품목별 관세를 부과했고, 같은달 29일엔 미국 내 자동차 생산 목적으로 수입된 차 부품의 관세 부담 완화를 위해 관세 상쇄금을 지급하는 내용의 수정안을 내놨다. 미국 내 부품 공급망을 구축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을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산업연은 자동차산업의 높은 미국 의존도로 고관세 정책의 부정적 영향이 고조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가격 인상과 함께 완성차 수출 감소로 부품 수요 역시 감소할 것으로 내다봤다. 완성차 업계가 관세 전가를 위해 부품 단가 하락 압박을 높이는 등의 간접적인 영향도 우려했다.
실제 지역 차부품업계의 실적 전망이 어둡다. 한국무역협회 대구경북지역본부에 따르면 올해 1~5월 대구의 자동차부품 수출은 5개월 연속 전년동기대비 감소했다. 경북도에서 일부 상승한 달이 있지만, 5개월 누적치는 작년과 비교해 3.4% 줄었다.
지역 업계는 고관세 정책으로 2분기 실적 하락을 점치고 있다. 대구 한 부품사 관계자는 "실적 하락이 예상되기 때문에 요즘 같은 주식시장 호황에도 주가가 오르지 않는 것 아니겠나"라고 설명했다.
한국 자동차 산업의 미국 시장 의존도가 높고 완성차 업계가 미국 현지 생산 확대를 밝힌 만큼 부품업계도 현지생산 확대나 수출 다변화와 같은 대응 방안이 마련돼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지역 대형 부품사들은 미국 현지나 멕시코의 공장 증설을 검토 중으로 확인됐다. 한국에서 생산해 수출하는 것보다 관세 영향을 덜 받을 수 있어서다. 하지만 지역 중소·영세 부품기업들은 관세로 인한 실적 하락에 무방비 상태다. 현지 생산은 검토할 여력조차 없기 때문이다.
보고서는 "부품산업에 금융·세제지원 및 경영 안정화 등 단기적 지원과 기술 및 생산성 향상을 위해 장기적 지원 방안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동현(경제)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