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해 1월 포스코 포항제철소 내에서 진행된 수소환원제철 개발센터 개소식 현판 제막식 모습.<포스코 제공>
총사업비 8천146억원(국비 3천88억원)의 '한국형 수소환원제철 실증기술개발사업'이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했다. 포스코 포항제철이 다시 한번 비상할 수 있는 전기가 마련될 것으로 보인다. 26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이 사업은 국가연구개발사업평가 총괄위원회 심의를 통해 예타를 통과했으며, 2026년부터 2030년까지 5년간 포스코 포항제철소에서 진행된다.
수소환원제철은 철강 생산과정에서 철광석의 산소를 제거할 때 기존 석탄 대신 수소를 사용하는 기술로, 이산화탄소 대신 수증기만을 배출해 탄소를 95% 이상 감축할 수 있다. 기후변화 대응과 산업 경쟁력 강화를 동시에 실현할 수 있어 '꿈의 제철법'으로 불리며 세계 각국이 기술 확보 경쟁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정부는 그간 기초기술 개발과 국가전략기술 지정 등 기반을 다져왔으며, 이번 실증사업은 포스코의 독자 기술인 파이넥스(FINEX) 공법을 활용해 추진된다. 파이넥스는 가루 철광석과 유연탄을 전처리 없이 바로 쇳물로 전환하는 친환경 공법으로 산업기술보호법에 따른 국가핵심기술로 지정돼 있다.
사업 핵심은 연간 30만t 규모의 실증 공정을 구축하는 것이다. 저렴하고 풍부한 가루 철광석과 수소를 이용해 수소환원철(HBI) 및 쇳물을 생산하는 대형 실증설비와 함께 중소·중견기업의 전기로 공정에서도 수소환원철을 활용할 수 있는 실증과제도 병행 지원된다. 산업부는 확보된 기술을 토대로 향후 고로 기반 제철소들을 수소환원 기반으로 점진적 전환하는 로드맵을 구상하고 있다. 이를 통해 2050년 탄소중립 실현은 물론, 국내 철강산업이 글로벌 친환경 시장을 선도하는 계기를 마련한다는 전략이다.
나성화 산업부 산업공급망정책관은 "이번 실증사업은 기술 확보 이상의 의미가 있다"며 "국내 철강업의 체질 전환과 수소경제 인프라 확장을 함께 이끄는 대전환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향후 수소와 전력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인프라 및 제도 마련도 병행해 나갈 계획이다.
김기태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