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이 어제 '민생경제 회복'을 키워드로 취임 후 첫 국회 시정연설을 했다. 이 대통령은 "무너진 경제를 회복하고 민생경제를 살리는 일은 지금 우리가 해결해야 할 가장 시급한 과제"라며 30조5천억 원 규모의 추가경정예산안 편성의 당위성을 설명했다. 그는 이어 "민생에 여야가 없으며, 실용 정신에 따라 경제성장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히며, 신속한 추경안 통과를 위한 야당의 협조를 거듭 당부했다.
이날 국회 시정연설은 모처럼 만에 정치 복원의 희망을 일부 엿본 자리였다. 야당의 고질적인 고성이나 야유도 없어졌으며, 이 대통령 역시 퇴장하면서 야당 의원들과 일일이 인사를 했다. 이는 통합의 의미를 강조하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국민의힘 의원들도 대통령의 시정연설에서 손뼉을 치지는 않았지만, 이 대통령이 다가가자 자리에 일어서서 악수에 응했다.
이 대통령이 이날 강조한 '경제와 민생 회복'을 실천하려면 무엇보다도 야당과 꾸준한 대화와 타협, 즉 협치가 절실하다. 당장 이 대통령은 새 정부의 첫 단추인 추경안의 신속한 국회 통과와 김민석 국무총리 후보자의 인준 등 여러 국정 현안을 놓고 야당과 머리를 맞대야 한다. 협치의 전제조건은 주고받는 협상이다. 무조건 정부를 도와달라고 하면 메아리가 울리지 않는다. 특히 야당이 국민 눈높이에 어긋난다고 지적한 총리 후보자 인선에 대해서도 겸허히 받아들여야 한다. 야당의 '추경 딴죽걸기'는 민생 회복에 결코 도움이 되지 않는다. 이는 정부 발목잡기의 그 이상, 그 이하도 아니다. 이 대통령이 시정연설에 앞서 여야 지도부와의 환담 자리에서 "제가 이제 을(乙)"이라며 보여준 전향적 태도가 협치로 이어지기를 기대한다.

논설실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