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문학사를 위해 오랜 시간 문예지를 잘 만들어왔습니다. 열심히 자기 길을 간 시인이었다, 그렇게 기억되면 좋겠습니다."
초여름 아침, 물소리 은은한 숲길을 따라 맨발로 나오는 노시인의 걸음이 가볍다. 대구 수성구 진밭골에서 매일 맨발걷기를 하는 강현국(76) 시인이다. 올해로 등단 50주년을 맞은 강 시인은 대구 최초 시 전문 계간지 '시와반시' 발행인 겸 주간으로 일하며 지역 문학 발전에 힘써온 인물이다. 문단 데뷔 50주년을 기념해 최근 펴낸 시집의 제목은 '경과보고'. 말 그대로 자신의 삶과 문학 인생을 돌아보며 '경과보고'하는 작품이다. 최근 진밭골 입구에서 그를 만나 반세기 동안의 문학 여정과 앞으로의 계획을 물었다.

올해 등단 50주년을 맞은 강현국 시인이 대구 수성구 진밭골 입구에서 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조현희기자
1949년 경북 상주에서 태어난 강현국 시인은 고(故) 김춘수 시인의 시를 접하며 시를 배우기로 결심했다. 대학 입시를 준비하던 중 김춘수 시인이 경북대에서 문학을 가르친다는 사실을 알고 경북대에 진학했다. 이후 청강을 할 정도로 김춘수 시인을 가까이 했고, 1976년 '현대문학'을 통해 문단에 들어섰다. 실제 그의 작품들은 김춘수 시의 경향을 띤다. 문학평론가들은 강 시인의 시에 대해 "감각은 김춘수, 현실 의식은 김수영의 영향을 받은 것 같다"고 평한다.
강 시인은 1992년 대구 최초의 시 계간지 '시와반시'를 창간했다. 그는 "당시 제대로 된 문예지는 서울에만 있었고, 아무리 좋은 시를 써도 지역에는 작품을 발표할 지면조차 없었다"며 "서울에서 문예지를 만드는 사람들을 뒤치다꺼리하는 현실적 문제도 종종 벌어졌다"고 회상했다. 이런 상황 속에서 '오기'와 '자존심'으로 시와반시를 만들었다고 밝혔다. 그렇게 창간한 잡지는 지금까지 단 한 번의 결호도 없이 꾸준히 발행되고 있다. 타 지역 문단에도 영향을 미쳤다. 창간 이후 부산, 광주, 제주 등에서도 지역을 기반으로 한 시 계간지가 잇달아 나왔다.
시와반시는 까다로운 등단 절차로도 유명하다. 33년이라는 시간동안 시와반시를 통해 등단한 문인은 100명조차 되지 않는다. 등단자가 아예 없는 해도 있다. 강 시인은 이런 운영 철학을 '독자 시학'이라 표현했다. "특정 이념이나 형식에 메이지 않는 모더니즘 시학을 지향하지만, 잡지의 품격을 잃지 않기 위해 안간힘을 씁니다. 책을 낼 때도 문학성을 갖춘 작품이 아니면 싣지 않으려 해요. 이렇게 좋은 시인과 작품들이 알려지면 출신 지역도 PR이 되니까 지역 문학사적인 가치가 쌓이죠."

경과보고/강현국 지음/시와반시/108쪽
올해 등단 50주년을 맞아 펴낸 열 번째 시집 '경과보고'는 지난 반세기동안의 시적 삶을 돌아보는 보고서이다. 시인은 등단 50주년을 맞은 소감에 대해 "착잡하고 감개무량하다"고 밝혔다. 간결하지만 묵직한 대답이다. 이번 시집은 그 복잡한 감정의 결을 담아낸 고백이자 새로운 길을 향한 다짐이다. 그의 시 세계를 관통하는 핵심 이미지 '맨발'과 '그림자'를 통해 삶의 본질과 존재의 성찰을 담아냈다.
강 시인은 매일 수성구 진밭골을 맨발로 걷는다. 이른 아침 풀잎에 맺힌 물방울과 시원한 흙의 감촉을 느끼며 걷는 그 시간은 "자신의 소리에 귀 기울이는 시간"이다. 그에게 맨발걷기는 자연, 세계와 교감하는 일이다. 그는 신발을 이념, 제도, 고정관념의 상징이라 말하며 "신발을 벗고 맨발이 될 때 비로소 본질을 들여다볼 수 있다"고 했다. 그림자는 신발과 같은 것들이 만들어낸 내면의 형상이다. 이를테면 상처, 트라우마 같은 것. 그림자를 마주하고, 신발을 벗고, 맨발의 상태가 됐을 때 비로소 자기 영혼의 목소리를 들을 수 있다. 이것이 그의 자기 성찰 과정이다.
앞으로의 계획을 묻는 질문에는 "이제 남은 먹물로 시를 쓰는 시기"라고 말했다. 그가 최근 쓴 '여적(餘滴)'이라는 작품과 이어진다. "50년 동안 쏟아부은 뒤에 남은 먹물로 쓰는 시죠. 이제 남아있는 시간동안은 억지로 끌어내기보단, 남은 것을 자연스럽게 흘려 쓰려 합니다. 그러면 오히려 더 좋은 시가 나올 수도 있지 않겠어요?"

조현희
문화부 조현희 기자입니다.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