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윤석열의 침묵’, 안타깝게만 볼 것인가

  • 논설실
  • |
  • 입력 2025-07-07  |  발행일 2025-07-07 제23면

윤석열 전 대통령이 12·3 비상계엄 관련 특별검사(조은석)팀의 두차례 소환조사를 받았다. 특검팀의 윤 전 대통령에 대한 구속영장 청구가 초읽기에 들어갔다는 관측이 나온다. 윤 전 대통령은 지난 달 28일에 이어 지난 5일 서울고검 청사에서 하루종일 조사에 임했다. 계엄 선포과정과 국무위원들에 대한 강압적 권한 행사, '평양 무인기 침투 지시 여부'까지 집중 캐물은 것으로 알려졌다.


윤 전 대통령 특검수사는 사실상 재수사이다. 정치적으로 가혹하다는 지적도 있지만 6·3 대선에서 정권이 교체되면서 피할 수 없는 과정이 됐다. 계엄과 내란 의혹의 엄중함에 비춰볼 때 역사적으로 한 줌 의혹도 남김없이 실체적 진실을 파헤쳐야 하기 때문이다.


이 지점에서 우리는 윤 전 대통령의 태도에 굉장히 실망하지 않을 수 없다. 윤 전 대통령은 특검의 두차례 소환조사에 응하면서 국민을 향해 사과를 포함해 어떠한 발언도 내놓지 않았다. 기자들의 질문에도 묵묵 부답이었다. 일개 형사범도 아니고 국가 최고 통수권자가 '고도의 통치행위' 라고 스스로 주장한 계엄 발동과 관련한 수사를 받으면서 이에 대한 자신의 입장을 정리하지 않고 있는 셈이다. 윤 전 대통령측은 오히려 사소한 부분에 더 신경을 쓰는 것으로 비쳐졌다. '경찰이 아닌 검사가 조사하게 해달라'고 요구하는가 하면, '정문이 아닌 지하실로 출입하겠다'고 했다가 거절당하기도 했다.


불법 계엄과 내란 혐의는 형량의 수위만 남았을 뿐, 법적 처벌을 피할 수 없다. 군 지휘관들은 미래 신분 조차 불확실해졌다. 한덕수 전 총리를 비롯한 계엄 당시 국무위원들은 물론 심지어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까지 불려가 조사를 받았다. 윤 전 대통령은 전직 대통령으로서 보다 솔직하고 당당한 모습이 요구된다. 계엄을 둘러싼 사실관계, 지시 여부에서 당시 대통령으로서 인정할 것은 인정하고, 소신이 있다면 밝혀야 한다. 침묵한다고 해결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기자 이미지

논설실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오피니언인기뉴스

영남일보TV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

영남일보TV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