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광복 80주년이 되는 날이다. 일제와 싸워 주권을 되찾았던 80년전 그날의 의미를 어느 해보다 뜻깊게 기려야 하고, 일제의 피해를 입은 분들의 상처를 보듬어야 한다. 동시에 더 나은 대한민국을 위해 보수와 진보가 대립하는 우리 사회를 통합하는 계기로 삼아야 할 날이기도 하다. 이런 역사적 의미가 있는 날, 일본군 위안부 할머니들의 후원금을 횡령한 혐의로 유죄판결을 받은 윤미향 전 의원과 사회 갈등을 촉발시켰던 조국 전 조국혁신당 대표가 사면됐다. 진영정치에 따른 사면이 광복 80주년의 의미를 크게 퇴색시켜 버렸다.
광복절 특사의 후폭풍은 15일 저녁 광화문 광장에서 열리는 이재명 대통령 '국민 임명식'에도 미쳤다. 국민 임명식은 국민 모두가 이재명 정부의 출범을 축하해 주는 의미있는 자리여야 한다. 이 자리에는 문재인 전 대통령 부부, 노무현 전 대통령 가족, '국민대표'로 선정된 80명을 포함한 3천여 명이 참석한다. 그런데 국민의힘과 개혁신당 그리고 오세훈 서울시장 등 국민의힘 소속 광역단체장들은 불참키로 했다. 보수진영의 상식에는 맞지 않는 8·15 특사에 대한 항의 표시다. 보수 대통령인 박근혜·이명박 전 대통령은 건강을 이유로 참석하지 않는다.
보수진영 인사들이 불참하면서 국민임명식은 진보진영의 대선 승리를 자축하는 행사로 전락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국민임명식이라면 보수와 진보를 가리지 않는 진정한 국민통합의 장(場)이 돼야 하지만, 진보진영의 관점에서 통합을 이야기하면서 사면을 하다보니 그들만의 정치적 퍼포먼스가 된 것이다. 향후 10년내로는 다시 없을 국민 통합의 날을 정치적 이유로 놓친 것 같아 안타깝다.

논설실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