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울릉 유사시 대피 시설, 턱없이 부족하다

  • 논설실
  • |
  • 입력 2022-11-08  |  수정 2022-11-08 06:48  |  발행일 2022-11-08 제23면

지난 2일 북한의 울릉도 방향 탄도미사일 발사를 계기로 울릉지역 민방위 대피시설을 대폭 확충해야 한다는 지적이 높다. 공습경보에 따른 대피명령이 내려져도 주민 대부분은 대피소로 가지 않고 집에 머물렀다고 한다. 주민들에게 공습경보를 제대로 전파하지 못한 탓도 있지만 가장 큰 원인은 대피시설 부족이다.

현재 울릉도 지하 대피소는 모두 8개소, 수용 가능 인원은 3천170여 명이다. 울릉 전체인구의 35.2%다. 이마저 울릉읍에 몰려있다. 서면과 북면에는 섬의 특성상 지하로 된 건물이 없어 대피할 곳조차 없다. 울릉군청 지하 대피소의 경우 기계실과 예비군 소대 사무실이 차지하고 있어 공무원 200여 명조차 수용하기 힘들다. 울릉 보건의료원은 수용인원이 1천200여 명으로 규모가 가장 크지만 평상시 장례식장이어서 실제 수용인원은 훨씬 못 미친다. 울릉의 기존 대피시설은 공공시설 지하 공간을 활용하고 있다. 그야말로 방공호 수준이다. 북한 포격에 노출된 서해 5도에 있는 지하 벙커는 어떤가. 냉난방·비상발전시설은 물론 비상식량까지 있다고 한다. 외부 도움 없이 장기간 생활이 가능하다니 대비된다.

울릉군은 급한 대로 터널 9개소를 민방위 대피장소로 활용키로 했다. 북한의 미사일 도발이 울릉도 방향이 주 궤적이 되는 상황에선 임시방편일 뿐이다. 주민은 물론 급증하는 울릉도 관광객 안전과 울릉공항 개항도 고려해야 한다. 지방도로 중심으로 벙커형 대피시설 구축은 물론 마을별 주차장 형태의 대피시설이 필수적이다. 서해 5도 지하 벙커에 준하는 규모여야 한다. 문제는 재원 마련이다. 울릉도·독도특별법이 제정돼야 가능하다. 정부와 정치권의 관심이 관건이다.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오피니언인기뉴스

영남일보TV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

영남일보TV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