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관광지 부근 무료 공영주차장에서 캠핑을 즐기는 이른바 '불법 차박'에 대한 과태료 부과 근거를 마련하고 각 지방자치단체의 캠핑용자동차 전용 주차장 조성을 지원키로 했다. 국무조정실은 지난 21일 이 같은 내용이 포함된 '캠핑 인프라 확충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을 마련해 제223차 정부업무평가위원회에 보고·확정했다고 밝혔다.
국내 캠핑카 등록 대수는 지난 6월 말 기준 6천788대로, 9년 동안 무려 20배나 폭증했다. 하지만 법규준수 의식은 이에 한참 못 미친다. 캠핑용카의 무료주차장 내 장기 알박기 차박은 물론 쓰레기·음식물 투기, 샛길 불법 주차로 전국이 몸살을 앓고 있다. 생태체육공원처럼 상수도와 간이화장실 등 편의시설을 갖춘 곳은 대규모 캠핑장으로 변하기 일쑤다. 도심 주택가 인근 공터에 캠핑카 장기주차로 인한 민원발생도 골칫거리다. 강이나 산에서 차량으로 캠핑을 즐기는 차박족의 경우 요리 후 남은 음식물 찌꺼기를 강물이나 계곡에 버리는 행위는 다반사였다. 각종 오염 행위 및 불법 행태가 도를 넘었다는 판단에 따라 정부가 단속에 돌입한 것이다.
캠핑카나 차를 이용한 차박은 거스를 수 없는 레저문화로 자리 잡았다. 강력한 단속도 중요하지만 이들을 위한 관련 인프라 구축도 병행해야 한다. 정부가 올해 27곳인 숲속야영장을 국·공립 기준으로 2027년까지 50곳으로 늘리기로 했다. 지자체에서 이용도가 낮은 공영주차장이나 유휴부지를 캠핑용 주차장으로 조성할 경우 정부가 관련 인프라 조성에 적극 지원키로 했다. 바람직한 조치다. 아울러 카캠핑족도 공중도덕을 지키고 차박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에 대비해야 한다.
국내 캠핑카 등록 대수는 지난 6월 말 기준 6천788대로, 9년 동안 무려 20배나 폭증했다. 하지만 법규준수 의식은 이에 한참 못 미친다. 캠핑용카의 무료주차장 내 장기 알박기 차박은 물론 쓰레기·음식물 투기, 샛길 불법 주차로 전국이 몸살을 앓고 있다. 생태체육공원처럼 상수도와 간이화장실 등 편의시설을 갖춘 곳은 대규모 캠핑장으로 변하기 일쑤다. 도심 주택가 인근 공터에 캠핑카 장기주차로 인한 민원발생도 골칫거리다. 강이나 산에서 차량으로 캠핑을 즐기는 차박족의 경우 요리 후 남은 음식물 찌꺼기를 강물이나 계곡에 버리는 행위는 다반사였다. 각종 오염 행위 및 불법 행태가 도를 넘었다는 판단에 따라 정부가 단속에 돌입한 것이다.
캠핑카나 차를 이용한 차박은 거스를 수 없는 레저문화로 자리 잡았다. 강력한 단속도 중요하지만 이들을 위한 관련 인프라 구축도 병행해야 한다. 정부가 올해 27곳인 숲속야영장을 국·공립 기준으로 2027년까지 50곳으로 늘리기로 했다. 지자체에서 이용도가 낮은 공영주차장이나 유휴부지를 캠핑용 주차장으로 조성할 경우 정부가 관련 인프라 조성에 적극 지원키로 했다. 바람직한 조치다. 아울러 카캠핑족도 공중도덕을 지키고 차박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에 대비해야 한다.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