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市郡 공무원의 道 전입 "도청 이전후 과반이 북부권 출신"

  • 유선태,양승진,정소현
  • |
  • 입력 2022-09-06  |  수정 2022-09-06 07:01  |  발행일 2022-09-06 제7면
대구 산격동시절 '선망의 대상'은 옛말

안동·예천 온 후 작년까지 6년 423명 중

51.5%인 218명 북부 9개 시·군서 전입

2018년 후 전입 할당제 불구 편중 심화

가장 먼 포항 등 감소 뚜렷…경주 작년 '0'

道 자체 신규 채용인력 숙련도 등서 큰 差
경북 市郡 공무원의 道 전입 도청 이전후 과반이 북부권 출신
그래픽=정소현기자 kar03060@yeongnam.com
경북도청이 2016년 안동·예천으로 이전한 이후 도청 전입 공무원들이 북부권 시·군에 편중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젊은 공무원 사이에서 상대적으로 근무 여건이 뛰어난 곳을 선호하는 현상 때문으로 분석된다. 이 같은 편중 현상으로 인해 우수한 인재 영입을 통한 지역 균형 발전 계획이 좀처럼 제 궤도에 오르지 못하는 모양새다.

경북도에 따르면, 2016년부터 지난해까지 도청으로 전입한 공무원 423명(타 시·도 3명 포함) 중 북부권 9개 시·군청 전입 공무원은 218명(51.5%)에 달한다. 포항·경주 등 동해안권 5개 시·군은 85명(20.1%), 구미·경산 등 대구 근교의 도내 남부권 9개 시·군은 117명(27.7%)으로 나타났다.

도는 이 같은 특정 시·군 편중을 막기 위해 2018년부터 권역별 전입 시험 할당제를 시행하고 있으나 오히려 편중 현상은 심화하고 있다. 2016년부터 2년간 도 전입 공무원 146명 중 북부권 9개 시·군 전입 공무원은 72명(49.31%)이었으나 2018년 이후 전입 공무원(277명) 중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52.7%(146명)로 약 3%포인트 증가했다.

◆북부권 시·군 출신 편중 심화

경북도는 매년 결원이 생기면 도내 23개 시·군의 7·8급 공무원 중 단체장 추천을 받아 전입시험을 실시해 충원했다. 시험은 서류전형과 역량평가로 이뤄진다.

2018년 도청이 직접 공무원을 채용하기 전까지는 시·군 공무원이 도청으로 전입하기 위해선 이 시험이 필수였다. 경북도의 전입시험은 2016년 도청 이전을 기점으로 변화를 겪고 있다. 대구 북구 산격동 시절 경북도청 전입은 시·군 공무원 사이에서는 '선망의 대상'이었다. 2006년 남부권 시·군에서 전입한 경북도 A 사무관은 "도청이 대구에 있을 때 시험 공고를 목 빠지게 기다리는 젊은 직원들이 아주 많았다"며 "운이 좋아 그나마 기회를 잡았지만 이전에는 인사, 총무 등 시험 정보를 빨리 알 수 있는 직원들이 거의 (전입을)독식했다. 면사무소에 근무하는 이들은 정보를 전달받지 못해 시험조차 보지 못하는 경우가 적지 않았다"고 말했다.

도청 이전 전엔 응시자가 많아 매년 인원을 배정해서 순서대로 시험을 치렀을 때의 일이다. 고령군 관계자는 "도청이 대구에 있을 땐 전입시험 인기가 상당했다. 매년 7~8명이 시험을 보고 4~5명이 전입돼 갔으며 인기가 좋을 땐 한 해에 7명이 간 적도 있다"고 말했다.

도 관계자는 "매년 80~130명 정도를 뽑았는데 경쟁률이 4대1을 훌쩍 넘었다. 포항·구미·경산 등 대도시는 물론 경북 전 지역에서 응시자들이 몰려 들었다"고 말했다.

이 같은 사정은 도청 이전 후 급변했다. MZ세대 공무원들의 생각은 선배들과 달랐다. 광역 행정을 한다는 자부심과 빠른 승진, 넓어지는 견문은 후순위였다. 그 앞에 삶의 질이 있었다. 2016년 이후 기초단체별 전입 인원을 분석해 보면 도청과 인접한 북부지역 기초단체 직원들의 도청 전입이 압도적이다. 안동과 문경의 전입 인원이 각 39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이어 영주(33명), 영양(27명) 등이 뒤를 이었다. 반면 대구 근교인 칠곡·경산은 같은 기간 각 5명, 청도·고령은 6명에 불과했다.

가장 눈길을 끄는 건 도청에서 물리적 거리가 가장 먼 포항·경주에서 전입하는 공무원 수가 감소 추세라는 점이다. 경주에서는 지난해 단 1명의 전입 인원도 없었다. 도청 이전 후 경주에서 도로 전입한 인원은 13명에 불과하다. 포항도 2017년 1명 등 6년간 전입 인원은 22명이다.

지자체 관계자는 "최근에는 정주 여건이나 육아·교육 환경 등이 상대적으로 낫거나 본가 인근에서 근무하려는 젊은 직원이 늘어나는 추세"라고 했다.

◆쉽지 않은 우수 인재 영입

경북 중·남부지역 기초단체 직원들의 도 근무 기피현상은 도의 우수인재 영입 전략에 어려움을 주고 있다.

대구·경북은 대학교 대부분이 대구·경산에 집중돼 있다. 이들 대학교의 졸업생과 재학생도 대부분 대구 외에 포항·구미·경주 등 인근 대도시 출신이다. 경북 중·남부지역 기초단체 소속의 젊은 직원들 가운데 대구·경산 소재 대학 출신이 많을 수밖에 없는 이유다. 사정이 이런데도 이들이 도청 근무를 기피하면서 도 입장에서는 우수한 지역 인재 영입에 난항을 겪을 수밖에 없다. 남부권 모 기초지자체 관계자는 "우리 군의 20~30대 직원 상당수가 지역 거점대 출신이다. 하지만 이들은 도청으로의 전입은 전혀 생각하지 않는다. 대구나 그 인근에 정주할 계획을 가진다"고 말했다.

도는 특정지역 편중 전입 현상을 해소하기 위해 2018년부터 전입 인원을 대폭 줄이고 자체적으로 신규 공무원을 채용하고 있다. 도는 앞으로 그 비율을 50%로 확대할 방침이다. 그러나 지금까지 평가점수는 높지 않다. 9급, 8급 때 시·군의 읍·면사무소 등에서 업무 경험이 없는 탓에 업무 숙련도나 역량에서 전입된 인력과 큰 차이를 보인다. 또 시·군 사정을 모르는 데다 조직 특성을 이해하지 못해 시·군과의 소통에 적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민원인과의 관계 설정에 미흡한 것도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기초단체 출신으로 경북도에 근무하고 있는 한 서기관은 "시·군에서는 대민 접촉이 선행되는 구조다, 여기서 쌓은 경험을 바탕으로 업무 정책을 수립하고 민원인의 목소리를 반영한다"며 "직접 채용된 인력들은 아무래도 이런 점에서 부족한 점이 많다"고 말했다.

유선태기자 youst@yeongnam.com
양승진기자 promotion7@yeongnam.com
기자 이미지

유선태

기사 전체보기
기자 이미지

양승진

먼저 가본 저세상 어떤가요 테스형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사회인기뉴스

영남일보TV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

영남일보TV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