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출신 이주호 전 교육과학기술부 장관이 윤석열 정부의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으로 임명됐다. 이로써 새 정부 출범 181일 만에 18개 부처 장관 자리가 모두 채워졌다. 이명박 정부에 이어 다시 교육부 장관에 오른 이 부총리가 해결할 교육 현안은 많다. 연내에 '2022 개정교육과정'을 확정해야 하고, 자율형 사립고와 외국어고 등의 일반고 전환 여부를 결정해야 한다. 이 가운데 지역에서 가장 관심이 가는 부분은 지방대학의 혁신과 지원에 관한 사안이다.
그는 취임식에서 "우리 사회는 디지털 대전환을 이미 경험하고 있으며 학생 인구는 반토막 났다. 위기를 극복하고 세계를 선도하는 글로벌 리더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교육을 혁명적으로 개혁하는 노력이 절실하다"면서 "대학과 지자체가 함께 자율과 책임을 갖고 설계·운영하는 혁신적인 재정지원 방식 모델을 만들어 확산하겠다"고 했다. 그러면서 △첨단기술 핵심 인재 양성 △지역대학을 위한 과감한 규제 개혁과 지원 △인공지능 활용 맞춤형 교육 △국가교육 책임제 강화를 핵심 과제로 제시했다.
지방대학은 학령인구 및 인구 감소로 사실상 고사 중에 있다. 규제 완화와 재정확충으로 지방대학을 리모델링하는 것이 급선무다. 그는 정부와 지자체, 지역대학 및 대기업 간의 협력 관계 강화를 유도해 지방대학이 지역발전의 중심역할을 하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아야 한다. 반도체 등 디지털 첨단전략산업 인재 양성에 지방대가 소외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지역대학의 숙원인 국립대학법 제정과 지역인재 채용의무제 개선, 지역거점 연구중심대학 육성 등에 힘써야 한다. 이를 통해 수도권과 비수도권 대학 간의 양극화 고착화를 막아야 한다.
그는 취임식에서 "우리 사회는 디지털 대전환을 이미 경험하고 있으며 학생 인구는 반토막 났다. 위기를 극복하고 세계를 선도하는 글로벌 리더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교육을 혁명적으로 개혁하는 노력이 절실하다"면서 "대학과 지자체가 함께 자율과 책임을 갖고 설계·운영하는 혁신적인 재정지원 방식 모델을 만들어 확산하겠다"고 했다. 그러면서 △첨단기술 핵심 인재 양성 △지역대학을 위한 과감한 규제 개혁과 지원 △인공지능 활용 맞춤형 교육 △국가교육 책임제 강화를 핵심 과제로 제시했다.
지방대학은 학령인구 및 인구 감소로 사실상 고사 중에 있다. 규제 완화와 재정확충으로 지방대학을 리모델링하는 것이 급선무다. 그는 정부와 지자체, 지역대학 및 대기업 간의 협력 관계 강화를 유도해 지방대학이 지역발전의 중심역할을 하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아야 한다. 반도체 등 디지털 첨단전략산업 인재 양성에 지방대가 소외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지역대학의 숙원인 국립대학법 제정과 지역인재 채용의무제 개선, 지역거점 연구중심대학 육성 등에 힘써야 한다. 이를 통해 수도권과 비수도권 대학 간의 양극화 고착화를 막아야 한다.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