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 한덕수 국무총리는 한 온라인 매체가 이태원 참사 희생자 명단을 공개한 것과 관련해 "가장 기본적인 절차인 유가족분들의 동의조차 완전히 구하지 않고 공개한 점에 대해 깊은 유감을 표한다"고 밝혔다. 정부의 첫 공식 입장인 셈인데, 오히려 꽤 절제되고 관대한 표현을 쓴 것이 이상할 정도다. 물론 희생자 명단 공개 여부는 사회적 논의 대상이 되기에 충분하다. 추모 대상을 익명으로 추상화하는 것이 정상적 애도 방식인지에 대해서도 숙고가 필요하다. 그러나 총리의 언급처럼 공개하려면 가장 기본적 절차이자 빠뜨릴 수 없는 조건인 '유족 동의'가 전제돼야 한다. 유족 동의 없는 희생자 명단 공개는 유족의 상처를 헤집는 2차 가해며 패륜적 행태다. 무엇이 이런 상식조차 무시한 비이성적 행동을 촉발했을까. 해당 매체는 당장 명단을 내리는 게 옳다. 국민의 따가운 질책은 물론 위법적 소지에 대한 책임 추궁도 뒤따를 것이다.
비극적 참사를 왜곡 과장하거나 확대 재생산하는 것이 얼마나 위험한지 광우병 사태와 세월호 참사 때 경험한 바 있다. '모든 수단 방법 동원해 희생자 명단 확보하라'는 민주연구원 부원장의 텔레그램 메시지 파문이 있은 후 '명단 공개'가 법률 위반이라는 점이 지속해서 지적돼 온 상황이지 않나. 그럼에도 일방적이고도 노골적으로 공개가 이뤄진 것은 정치적 의도를 의심받기에 충분하다. '희생자 명단 공개'를 외치던 민주당 의원들이 명단이 공개되자 일제히 침묵하는 것도 당당하지 못하다. 정의당 이정미 대표조차 "참담하다"고 개탄했다. 혹 명단 공개를 '정의(正義)'의 문제와 결부시키는 터무니없는 시도는 말라. 재난의 정략화, 국민 슬픔을 정쟁의 도구로 삼는 것은 불의(不義)다.
비극적 참사를 왜곡 과장하거나 확대 재생산하는 것이 얼마나 위험한지 광우병 사태와 세월호 참사 때 경험한 바 있다. '모든 수단 방법 동원해 희생자 명단 확보하라'는 민주연구원 부원장의 텔레그램 메시지 파문이 있은 후 '명단 공개'가 법률 위반이라는 점이 지속해서 지적돼 온 상황이지 않나. 그럼에도 일방적이고도 노골적으로 공개가 이뤄진 것은 정치적 의도를 의심받기에 충분하다. '희생자 명단 공개'를 외치던 민주당 의원들이 명단이 공개되자 일제히 침묵하는 것도 당당하지 못하다. 정의당 이정미 대표조차 "참담하다"고 개탄했다. 혹 명단 공개를 '정의(正義)'의 문제와 결부시키는 터무니없는 시도는 말라. 재난의 정략화, 국민 슬픔을 정쟁의 도구로 삼는 것은 불의(不義)다.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