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구시행복진흥사회서비스원(이하 행복진흥원) 여성가족본부는 대구여성의 삶을 영역별로 정리해 양성평등 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2022 통계로 보는 대구여성의 삶'을 발간했다고 24일 밝혔다.
2015년부터 발간되기 시작한 '통계로 보는 대구여성의 삶'은 인구 및 가구, 가족, 보육 및 교육, 사회참여, 건강 및 복지, 안전 및 환경, 문화 등 7개 영역을중심으로 7대 특·광역시 비교를 통해 대구여성의 삶의 현황과 특색을 살펴보고 있다.
2016년 '워킹맘 나다움氏(씨)의 대구살이', 2017년 '2030 대구청년여성, 나다움氏의 일과 삶', 2018년 '50대 중년 여성, 나다움氏의 대구살이', 2019년 '여성안전점검, 나다움氏의 안심 in 대구살이', 2020년 '코로나19와 나다움氏의 대구살이', 2021년 '나다움氏의 the 건강한 대구살이' 등 시대 트렌드에 맞는 주제를 해마다 선정해 대구 여성의 삶을 시각화해 보여주고 있다.
올해는 '일·가정 균형'을 주제로, 일·가정생활 인식 및 모부성 보호제도 사용 현황 등을 시각화해 제공했다. 일과 가정생활의 우선도를 묻는질문에 '둘 다 비슷'하다는 응답이 2021년 기준 여성은 56.4%인데 반해, 남성은39.8%로 일·가정 균형에 대한 인식에 여전히 성별 격차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최근 일·가정 균형에 대한 인식이 변화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모부성 보호제도 사용과 관련해 육아휴직은 여전히 여성의 비중이 남성에 비해 6배 정도 높기는 하지만, 2021년 남성 육아휴직이 전년 대비 25% 증가함에 따라 일·가정균형에 대한 인식은 지속적으로 변화 될 것으로 전망됐다.
또한 대구지역의 가족친화인증 기업(관)은 지난해 155개로, 전년 대비 45개 증가해 지역사회 전반에 일·생활균형을 위한 조직문화 및 근로환경이 변화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순천 대구행복진흥원장은 "앞으로도 변화하는 대구여성의 삶을 시민들에게 지속적으로 제공하고, 이같은 연구와 현장경험을 접목, 지역민 삶의 질 향상을 위해 더욱더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임성수기자 s018@yeongnam.com

임성수
편집국 경북본사 1부장 임성수입니다.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