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대구 내년 장기불황 진입" 경고 흘려들어선 안 돼

  • 논설실
  • |
  • 입력 2022-11-29  |  수정 2022-11-29 06:43  |  발행일 2022-11-29 제23면

내년 대구가 장기불황에 빠질 수 있다는 경고가 나왔다. 임규채 대경연구원 미래전략연구실장은 2022년 하반기 경제동향보고회에서 "부동산 및 주가 버블 붕괴 이후 장기 불황에 들어간 일본처럼 내년 저성장 국면에 빠질 수 있어 지역 기업의 구조 개선 및 개혁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최근 대구의 경기동행지수 상승은 물가 및 유가 상승에 따른 것으로, 경기 불황 직전에 나타나는 현상이라는 것.

임 실장의 주장에는 상당한 근거가 있다. 올해 급격한 기준금리 인상의 여파는 내년에나 본격 미칠 전망이다. 대구에서 최근 몇 년 새 과도하다시피 많이 분양된 아파트 탓에 급증한 가계 부채가 우선 부담이다. 뚜렷한 해결책도 안 보인다. 부동산 경기 침체에 따른 PF(프로젝트 파이낸싱) 대출 부실도 시한폭탄처럼 잠재돼 있다. 중소 건설사와 증권사, 저축은행, 캐피탈사 등에 벌써 긴장감이 감돈다. 한 곳이 펑크 나면 연쇄 반응이 일어날 가능성이 높다. 국내외 금융 전문가들도 기업의 대출 부실과 우발채무 현실화를 들어 1년 이내 금융위기 발생 가능성을 6개월 전보다 20%포인트 높은 58.3%로 예측했다.

대구시나 지역기업들은 전문가들의 경고성 발언을 흘려들어선 안 된다. 정부에만 의존한 채 손 놓고 있기엔 대구의 경제 사정이 너무 안 좋다. 이재하 대구상공회의소 회장이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시스템으로 바꾸기 위해선 새로운 기업가 정신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듯이 지역 기업들은 패러다임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한 준비를 갖춰나가야 한다. 대구시는 기업이 구조 개혁을 완수할 수 있도록 선제적 지원에 나서야 한다. 위기 발생 후 대응은 이미 늦다. 유사시를 대비한 철저한 준비만이 위기를 돌파할 수 있는 유일한 길이다.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오피니언인기뉴스

영남일보TV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

영남일보TV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