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대전환, 지방시대- Ⅰ. 대구경북 소멸 보고서] 대구에도 지방소멸이 현실화 된다

  • 서민지
  • |
  • 입력 2023-07-02 20:02  |  수정 2023-11-09 15:17  |  발행일 2023-07-02

2023070301050000693.jpg

"인구가 점점 줄어들고 있다는 것은 알지만, 과연 살아있는 동안 대구에 '소멸' 위기가 닥칠까요?" 대구 수성구에 거주하는 한 30대 청년의 말이다. 위기가 현실화 된 농어촌 지역 소규모 시·군과 달리, 광역도시인 대구에서 지방소멸은 거리가 먼 이야기로 들린다는 것이다.

 

최근 공개되는 연구 결과와 통계들은 달리 말한다. 대구 인구 순유출은 꾸준히 일어나면서 생산가능인구가 줄어들고 있고, 고령인구 비중은 갈수록 늘어나고 있다. 대구는 이른바 '인구조로'(人口早老) 현상에 직면해있다. 취약한 인구구조는 지역 차원의 경쟁력과 생산력을 크게 저하시킨다. 지역 경제 성장은 인구구조와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다. 결국, 대구 역시 해법을 찾지 않는다면, 시기만 차이날 뿐 지방소멸의 마수를 피할 수 없을 것이라는 의미다. 

 

작년 대구 순유출 1만1500명
7700여명이 20대의 수도권행
5월 기준 고령인구 비율 18.8%
가파른 증가 속 전국평균 상회


지역 내 생활·교육환경 등 격차
서·남구민 他구·군 전출도 지속


◆ 줄어드는 대구 인구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대구지역 주민등록 인구수는 지난 2012년 250만5천644명, 2017년 247만5천231명, 지난해 236만3천 691명으로 집계됐다. 5월 기준 인구는 235만7천32명이다. 유출인구를 살피면 상황은 심각하다. '순유출'이 계속해서 발생하고 있다. 순유출이란 전입보다 전출이 많은 전출 초과상태를 뜻한다. 지난 4월 동북지방통계청이 발표한 통계에 의하면, 대구가 광역시로 승격된 1995년 대구 순유출자는 3천279명이었는데, 지난해엔 1만1천519명으로 약 2.5배 (8천240명) 증가했다.

 

순유출은 20대 이상 대부분 연령층에서 발생하는데, 특히 청년층 순유출이 두드러진다. 특히 20대의 수도권 순유출자는 1995년(4천919명) 대비 지난해 7천725명으로 57%(2천806명) 증가했다. 30대는 1995년 대비 1천362명이 증가했다.


고령자 비중은 점점 늘어난다. 지난 5월 전국의 평균 고령인구 비율은 18.4%였는데, 대구는 18.8%로 평균치를 넘어섰다. 통상 경기도를 제외한 도(道) 지역을 중심으로 고령자 비율이 현저히 높은 특성을 보이지만, 대구와 부산(22.0%) 만큼은 예외였다. 전국 수준보다 빠르게 소멸이 진행되고 있는 '유이'한 도시 지역인 셈이다.


통계청의 2022 고령자 통계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고령사회에서 초고령사회 도달 연수(65세 이상 고령인구 비중 14%→20%)는 고작 7년이었다. 오스트리아(53년), 영국(50년)에 비해 7배 이상 차이 났고, 미국(15년), 일본(10년)보다도 짧았다. 이런 상황에서 대구의 고령인구 비중이 2030년 27%, 2040년 36.7%, 2050년 42.1%로 늘어날 것으로 보는 통계청의 예측 결과도 발표돼 눈길을 끈다.


학계에서는 대도시 역시 지방소멸 위기에서 예외일 수 없다고 일찌감치 이야기 해왔다. 지난해 경제인문사회연구회는 '지방소멸 시대의 인구 감소 위기 극복방안: 지역경제 선순환 메커니즘을 중심으로' 보고서를 통해 "이들 지역(대구, 부산)은 현재 지방소멸의 상당 부분이 진행됐다"면서 "다른 지역과 달리 변화 속도도 빨라 특단의 대책이 요구되는 지역이다"고 밝혔다. 또 "비수도권의 많은 지역이 초고령화로 인해 이미 지방소멸이 진행되고 있으며, 이에 더해 수도권 및 광역시도 빠른 속도로 지방소멸을 향해 다가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우리가 지방소멸에 대해 진지하게 고민해야 하는 이유"라고 짚었다.

◆ 인구감소지역, 대구 서구와 남구
대구시 내부적으로도 소멸은 진행 중이다. 지난 2021년 대구 서구와 남구는 인구감소지역으로 지정되는 불명예를 안았다. 인구감소 지역의 경우 △ 연평균 인구증감률 △ 인구밀도 △ 청년 순이동률 △ 주간인구 △ 고령화 비율 △ 유소년비율 △ 조출생률 △ 재정자립도 등 8개의 인구감소지수를 바탕으로 지정된다. 인구감소지역 지정 시 지방소멸대응기금 차등배분, 국고보조사업 공모 우대 등 혜택을 받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낙후 도시'라고 한 번 달린 꼬리표를 떼기란 쉽지 않다.


최근 3년간 서구와 남구에는 꾸준하게 전출인원이 발생하고 있다.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지난해 서구를 떠난 인구는 1만7천894명, 2021년 2만1천955명, 지난 2020년은 2만4천344명이다. 남구의 경우 지난해 2만986명, 2021년 2만3천756명, 지난 2020년 2만5천897명이었다. '2030세대'의 이동의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지난해 서구를 떠난 2030세대는 7천317명으로 전체 전출 인구(1만7천894명)의 59.1%를 차지했다. 지난해 남구를 떠난 젊은 층은 9천736명으로 전체 전출 인구의 53.6%다.


이러한 인구 유출의 원인은 생활, 교육환경 등인 것으로 보인다. '2021 대구 사회지표' 구군별 생활·교육환경 만족 격차 발생에 따르면, 주택·기반시설·주차장·보행환경에 대한 만족이 가장 낮은 지역은 서구였으며 다음으로는 남구인 것으로 분석됐다. 교육 환경 부분에서도 서구와 남구가 만족도가 낮은 지역에 포함됐다. 공교육·평생교육 등 분야에서 서구와 남구가 만족도가 가장 낮은 것으로 분석됐다.


지난 2021년 서구 내당동에서 수성구 범어동으로 거주지를 옮긴 이모(38)씨는 "교통·마트 등 생활 인프라가 서구보다 수성구가 우수하다는 점이 이사를 결심하게 된 가장 큰 이유다"면서 "향후 서구의 정주 여건이 괜찮아진다고 해도 서구로 돌아가고 싶은 마음은 없다"고 했다.
또 지난 2022년 남구 봉덕동에서 달서구 이곡동으로 이사한 김모(여·43)씨는 "자녀 교육을 위해서 남구를 떠나게 됐다. 달서구의 경우 남구보다 학원가 형성이 잘 돼 있다"면서 "남구는 낙후된 이미지가 강해 현재로는 이사를 고려하지 않고 있다"고 했다.

◆ 대구 인구 계속 감소하나
2020년 대구시가 공표한 '대구시 장래 인구 추계'에 따르면, 대구 인구는 2030년 219만 7천348명으로 줄어든다. 2035년에는 211만 857명, 2040년에는 202만 271명이 될 것으로 분석됐다. 지방소멸대응기금을 통해 다양한 사업을 시도하는 대구 서구와 남구도 인구 감소 상황을 벗어나지는 못할 것으로 분석된다.

 

해당 통계에 의하면 2023년 서구는 15만4천851명, 남구는 13만 7천790명이다. 7년 뒤인 2030년에는 서구는 13만 1천443명으로 약 15.1% 인구가, 남구는 12만 5천 330명으로 약 9%의 인구가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해가 갈수록 인구는 줄어들어 2040년 서구 인구는 11만4천429명, 남구 인구는 11만4천745명이 될 것으로 예고됐다.


인구 감소세를 한동안이라도 피할 수 있는 대구 기초 지자체는 달성군이 유일하다. 현재 26만8천8명인 달성군 인구는 2030년 28만1천360명, 2035년 28만1천975명으로 증가세를 유지하다가 2040년 소폭 줄어든 27만6천7명이 될 것으로 전망됐다.


서민지기자 mjs858@yeongnam.com
정지윤기자 yooni@yeongnam.com

기자 이미지

서민지 기자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기획/특집인기뉴스

영남일보TV





영남일보TV

더보기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