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전기차 아이오닉6 〈현대차 홈페이지〉 |
현대자동차가 올 2분기 4조원대 영업이익을 냈다. 역대 분기 최대 실적이자, 영업이익률도 10.0%로 10년 만에 두 자릿수를 기록하며 쾌속 질주하고 있다.
저가 전기차 정책으로 올 2분기 영업이익률이 9.6%에 그친 테슬라를 수익성 면에선 앞질렀다.
현대차의 영업실적 상승랠리는 한동안 이어질 것으로 보여 2천개(1~4차 협력사)인 대구경북지역 차부품 업체들의 매출 및 영업이익 신장에 직간접적으로 긍정적 시그널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현대차는 26일 지난 2분기 매출이 42조2천497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7.4% 늘었다고 발표했다. 순이익은 3조3천468억원으로 8.5% 늘었다. 특히 영업이익은 4조2천379억원으로 42.4%나 증가했다.
매출과 영업이익 모두 역대 최대 분기 실적이다. 직전 최대 실적은 매출의 경우 작년 4분기 때 38조5천236억원이고, 영업이익은 지난 1분기 때 3조5천927억원이었다. 영업이익은 작년 4분기부터 3분기 연속 최대치를 경신했다. 무엇보다 영업이익률은 10.0%로, 2013년 2분기(10.4%) 이후 10년 만에 처음으로 두 자릿수로 올라섰다.
내수와 수출 판매량이 모두 큰 폭으로 늘어난 게 역대 분기 최대실적으로 이어졌다는 분석이 나온다.
국내에선 작년 말 출시한 7세대 신형 그랜저와 올 1분기 출시한 신형 코나 판매가 본격화됐고, SUV와 고부가가치 차종 판매가 호조를 보였다. 이에 판매량은 전년 대비 12.7% 증가한 20만5천503대로 집계됐다.
해외시장에선 전년 동기보다 7.6% 늘어난 85만4천210대가 팔렸다. 생산 증가와 함께 전용 전기차 '아이오닉6'의 글로벌 시장 본격 판매, 하이브리드차 판매 호조 등 친환경차 판매가 늘어난 결과다.
현대차 관계자는 "반도체 공급 부족 상황이 개선됨에 따라 생산이 확대되고 있지만 주요 시장의 재고 수준은 여전히 낮아 견조한 대기수요를 토대로 하반기에도 판매 증가가 예상된다"며 "다만 지정학적 리스크와 금리 인상 등 경영 환경 불확실성으로 인한 수요 감소 우려는 있다"고 말했다.
이처럼 현대차가 역대급 영업실적을 내면서 지역 차부품 업계에도 물량 증가 및 이익 증대 등 '낙수효과'가 클 것으로 기대된다.
대구시·대구상의·한국은행 대구경북본부 등의 자료를 종합하면 대구와 경북에 현대차 1차 협력사(2021년 기준)는 각각 44개(6%), 67개(9.2%)를 차지한다.
여기에 2~4차 협력사까지 합치면 대구는 880여 개, 경북은 1천100여 개가 분포하고 있다. 현대차 협력사이자 상장사인 지역의 에스엘, 삼보모터스, 경창산업, 구영테크, 세원정공, 상신브레이크, 평화산업, 티에이치엔, 피에이치에이 등의 2분기 영업실적 발표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최수경기자 justone@yeongnam.com
최시웅기자 jet123@yeongnam.com

최수경

최시웅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