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남시론] 코리아통일아카이브센터를 구미에 건립하자

  • 박진관
  • |
  • 입력 2024-01-03 06:59  |  수정 2024-01-03 07:00  |  발행일 2024-01-03 제26면
한반도 첫 통일국가는 고려
왕건의 대망은 구미서 완성
박정희의 7·4남북공동선언
분단 이후 최초의 통일 구상
통일역사자료관을 구미에

2024010201000060700002691
박진관 중부지역본부장

신라의 삼국통일은 불완전했다. 그 강역이 대동강 이남~원산만이고, 고구려를 계승한 발해가 통일신라 국경 북쪽을 차지했기 때문이다. 대부분의 역사가는 그때를 남북국시대로 지칭하고, 이후 태동한 고려(Corea·Korea)를 한반도를 통합한 최초의 통일국가라고 본다.

고려 태조 왕건은 서기 936년 음력 9월8일(양력 10월1일) 지금의 낙동강과 감천 두물머리인 일리천 일대에서 후백제에 대승을 거두고 그해 통일 대업을 완수했다. 일리천전투는 왕건과 후백제의 왕이던 견훤이 같은 편이 돼 견훤의 아들 신검과 맞붙은 전쟁이다. 왕건과 신검의 최후 운명을 건 대회전이었던 만큼 구미시 선산읍과 고아읍 일대 땅이름에 전흔이 여럿 남아 있다. 왕건을 상징하는 태조산과 태조봉, 7개의 군량미 비축창고인 칠창리, 군사의 수가 많아서 이름을 붙인 태조미(대지미)마을, 태조의 군영인 어강리와 정자인 어성정, 왕의 깃발을 꽂아둔 장대, 통일의 꿈을 꾼 대망천과 낙동강 나루인 려진(麗津), 왕건의 29번째 왕비 해량원부인이 태어난 김싯골(짐시골) 등이 지명으로 전해온다.

신검의 군영이던 낙동강 서쪽 지산동 평야엔 그 지명이 구체적이다. 왕건이 신검의 부대 앞에서 칼을 빼든 어검(禦劒)들은 어갱이들, 신검의 군사를 발본색원한 발검(拔劍)들은 발갱이들, 신검의 진지를 점령한 점검(占劍)들은 점갱이들로 불리어온다. 이 가운데 '발갱이들소리'는 고려건국과 관련한 역사성과 농경문화를 엿볼 수 있는 노동요로 경북도 무형문화재 27호로 전승돼 오고 있다. 또한, 선산의 '큰줄당기기'는 1920년대까지 5년마다 열리던 전통놀이인데, 일리천전투가 원형이라는 설이 있다. 일리천은 선산의 옛 이름인 일리군(郡)에서 유래됐다. 일선(一善), 숭선(崇善), 선주(善州)라고도 불리던 선산은 1995년 구미에 통합됐다. 이로써 구미시는 국내 최대 공업도시라는 명예에다 유서 깊은 선산의 역사와 문화를 품게 됐다. 하지만 구미시는 이같이 풍부한 고려통일의 역사적 토양을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 최근 충남 천안시가 '천안(天安)'이란 지명을 탄생시킨 태조 왕건을 기려 내년에 기념공원을 조성한다고 선언했다. 여기엔 일리천전투 조형물과 삼국통일 광장 등이 들어선다. 일리천이 구미에 있음에도 천안에 선점 당한 꼴이 돼버렸다.

나는 이참에 구미시가 더 큰 그림을 그렸으면 싶다. 구미 출신 박정희 전 대통령을 고려의 후삼국 통일과 연계해 구미에 '코리아통일아카이브센터' 또는 '코리아통일역사자료관'을 일리천전투가 벌어진 일대에 건립하는 것이다. 박정희 정부는 1972년 7월4일 남북 분단 후 최초로 남북이 합의한 통일 성명서를 발표했다. 이후 남북적십자회담이 처음 열리고 서울-평양 간 직통전화가 개설됐으며 남북조절위원회가 구성됐다.

자주·평화·민족대단결이란 통일 3대 원칙을 천명한 7·4 남북공동성명의 기본 정신은 남북기본합의서(1991), 6·15 남북공동선언(2002), 10·4 남북공동선언(2007), 4·27 판문점선언(2018)으로 이어졌다. 7·4 남북공동성명 이후 남북관계가 지금까지 냉·온탕을 오갔지만, 통일부를 비롯한 정부와 민간사회단체의 통일 자료를 한데 구축한 아카이브센터는 없다. 일리천전투 조형물과 태조 왕건 기념관을 일리천일대에 건립하고 그 옆에 통일을 향한 부단한 노력의 결과물을 수집·보존·전시할 아카이브센터를 함께 마련하면 어떨까. 구미가 또다시 통일코리아의 성지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박진관 중부지역본부장

기자 이미지

박진관 기자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오피니언인기뉴스

영남일보TV





영남일보TV

더보기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