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에도 외국인 근로자 기근 심화…지역 中企 "채용 개선 필요"

  • 손선우,오주석
  • |
  • 입력 2024-01-08 20:19  |  수정 2024-01-09 07:40  |  발행일 2024-01-09
2023년 외국인력 고용 종합애로 실태조사
외국인노동자 희망인원 20만명 달해
2023년 12월말 기준 대구 외국인 노동자 7천800명
외국인 노동자 취업 사업장 수 920개사...평균 8.5명 근무
대구 중소기업계, "외국인 노동자 채용 개선"
11.jpg


외국인 근로자 기근현상이 심화되고 있다. 이들은 중소기업 제조현장 등에서 내국인이 기피한 곳에서 부족한 일손을 메워왔지만 수요에 비해 인력공급은 턱없이 모자란 상황이다. 대구경북에만 빈 일자리가 1만 8천개에 이른다. 이 자리는 결국 외국인으로 채울 수밖에 없다.
중소기업중앙회는 8일 외국인 노동자를 고용하고 있는 중소제조업체 1천200개사를 대상으로 벌인 '2023년 외국인력 고용 관련 종합애로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외국인 노동자가 부족하다는 사업주는 29.7%다. 추가로 필요한 외국인 노동자는 평균 4.9명이다. 이를 외국인력(E-9) 활용업체 5만4천780개사를 기준으로 추정하면 1만6천270개사에서 7만9천723명의 외국인 수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역대 최대 외국인(고용허가제·16만5천명)이지만, 중소기업이 원하는 외국인 근로자 도입 규모는 20만명에 달한다. 3만5천명이 더 필요하다.


▶지역에도 빈 일자리 넘쳐
대구경북지역엔 빈 일자리가 차고 넘친다.


8일 대구시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기준 대구의 일자리 총 75만6천901개 중 6천337개가 빈 일자리로 파악됐다.


업종별로 살펴보면 운수 및 창고업이 1천423개로 가장 많았다. 이어 제조업(1천276개),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1천33개), 도·소매업(798개), 사업시설 관리, 사업지원 및 임대서비스업 의 순이었다. 특히 주목할 것은 중소기업에 빈 일자리가 1천300개에 육박한다. 어쩔 수 없이 외국인 근로자들로 채워야 할 자리다.


경북의 경우는 빈 자리가 훨씬 많다. 경북도 따르면 지난해 10월 기준 경북지역 일자리 총 89만2천975개 중 1만1천599개가 빈 일자리다. 빈 일자리는 제조업이 3천944개로 가장 많았고 숙박 및 음식점(1천757개), 공공행정(1천531개) 순으로 집계됐다. 5년 전(2018년·8천559개)과 비교해 경북지역 빈 일자리는 3천개 늘어났다.


▶더 좋은 조건을 찾는 외국인 근로자
"말도 안 통하는 외국인 노동자 데려와 교육하면 최소 6개월은 지나야 겨우 1명분 일을 할 수 있어요. 그런데 숙련되면 더 좋은 조건의 업체로 떠납니다. 그럼 우린 어떡하나요?" 익명을 요구한 대구의 한 제조업체 대표는 이날 영남일보와의 통화에서 외국인 근로자 채용에 대해 장탄식을 늘어놨다. 이 업체는 지난해 비전문취업(E9) 비자로 체류 중인 외국인 노동자 6명을 채용했다. 하지만 이 중 3명이 퇴사를 요청했다. 인력 공백을 메우기 위해 또 다른 외국인 노동자를 수소문하고 있지만 빠른 재입국과 재취업이 가능한 이른바 '성실한 외국인 근로자'들은 더 나은 근무환경을 원했다. 그는 "요즘 외국인 근로자는 각국 커뮤니티를 통해 취업업체에 대한 정보를 미리 공유한다. 임금 수준이나 처우 등 근무 환경을 따져 3번의 이직 기회를 십분 활용하려 한다"며 "그런데 중소기업은 열악한 근무환경을 개선하기가 쉽지 않다. 정부에서 외국인 노동자를 미리 확보해 퇴사나 이직한 경우 업무에 지장이 없도록 지원해줬으면 좋겠다"고 토로했다.


지난해 12월말 기준 대구고용노동청에 등록된 대구의 외국인 근로자는 총 7천800명이다. 이들이 취업한 사업장 수는 920개사다. 사업장당 평균 8.5명의 외국인들이 일하는 셈이다. 중소기업이 사실상 지역 경제를 이끌어가는 대구는 경기와 경남 다음으로 외국인 근로자가 많은 편에 속한다.


대구 중소기업들은 열악한 중소기업의 근무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 '장려금 제도' 도입과 외국인 근로자 이직에 대한 정책적 개선이 필요하다고 한목소리를 냈다.


대구고용노동청 관계자도 "작년에도 외국인 근로자 12만명이 신규 입국했다. 외국인 노동자가 귀하다기 보다는 그들이 이직하지 않고 일할 수 있는 근로여건을 마련할 필요성이 있다"고 말했다.


삼부기업3
올해 초 지역특화형 비자 취득과 함께 경북 영주의 사업장에서 근무하게 된 외국인이 장비를 정비하고 있다.<영남일보 DB>

경북 영주에서 자동차 부품업체를 운영하는 장모씨는 "젊은 사람은 일찍 공장에서 다 빠져나가 현재는 50~60대 근로자가 생산 라인에서 주를 이룬다"며 "외국인이라도 받지 않으면 5년 뒤 공장 운영을 장담할 수 없다"고 긴 한숨을 쉬었다.


경북은 빈 일자리를 매울 대안 중 하나로 외국인을 지목했다. 전국적인 인구감소세 속에서도 젊은 외국인 수는 꾸준히 늘어나서다. 실제 경북 도내 외국인 수는 지난해 11월 기준 총 10만4천564명으로 전년 대비 6천367명 늘었다. 이중 20~30대 비중이 전체의 절반 이상(5만5천477명)이다.


경북에 유입된 외국인 4명 중 1명은 도내에서 경제 활동을 영위하고 있다. 외국인 종사자 2만4천74명(5천627개 사업장)에서 근무 중이다. 사업장 당 평균 4.3명의 외국인 근로자가 일하는 셈이다. 도내에서 가장 외국인을 많이 고용하는 지자체는 경주(4천439명)이다. 전체의 18.4%를 차지하고 있다. 포항시(2천942명), 경산시(2천605명), 구미시(2천310명)에서도 외국인 근로자 비중이 상당했다.


한편, 전국적으로도 외국인 근로자 추가 도입을 애타게 바라고 있다. 올해 고용허가제로 국내에 들어올 외국인 노동자가 16만5천명으로 대폭 늘었지만, 중소기업계는 3만5천명 정도 더 필요할 것으로 추정했다.고용허가제의 가장 시급한 개선과제로는 '불성실한 외국인력에 대한 제재장치 마련(사업장 변경 횟수 축소 등(35.5%)'과 '4년10개월간 사업장 변경을 하지 않은 외국인 근로자에 대해 인센티브 부여(19.3%)'를 꼽았다.외국인 노동자의 82%가 입국 1년 내 근무처 변경을 요구하기 때문이다. 6개월 이내는 58.2%, 6개월~1년 사이는 23.8%에 이른다. 

 

손선우·오주석 기자

기자 이미지

손선우 기자

기사 전체보기
기자 이미지

오주석 기자

영남일보 오주석 기자입니다. 경북경찰청과 경북도청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경제인기뉴스

영남일보TV





영남일보TV

더보기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