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경북도가 '아이 키우기 좋은 경북'에 초점을 맞춘 저출산 극복 정책 마련에 나서 관심을 모으고 있다. 사진은 지난해 경북 청도군 매전면 관하1리 입구에 아이의 출생을 축하하는 현수막이 게시된 모습. 영남일보DB |
경북도가 저출산 극복 정책 마련에 팔을 걷어붙였다.
'아이만 낳으면 나머지 모든 것을 경북도가 책임진다'는 데 초점을 맞췄다. '경북형 저출산 극복 정책'으로 '아이 키우기 좋은 경북'을 만들겠다는 의지다.
특히 이철우 도지사는 '육아휴직 두 번 이상 사용하는 직원에 대한 우선 승진' 등 특단의 대책을 마련하라고 간부들에게 지시, 주목을 받고 있다.
경북도의 적극적인 움직임은 그동안 도에서 추진한 보육정책을 비롯해 전국의 타 지자체에서 시행 중인 저출산 극복 정책의 효과가 미미하다는 판단에서 비롯됐다.
현재 서울시는 가사와 육아를 돕는 외국인 가사관리사 100명을 선별해 지난해 12월부터 시범 운영 중이다.
인천시는 올해부터 태어나는 출생아에게 18세까지 1억원을 지급하겠다고 밝혔다. 전남도와 제주는 온종일 돌봄 서비스를 통해 신혼부부의 육아 부담을 덜겠다고 선언했고, 충남도과 경남도는 주거 안정에 중점을 둔 출산·보육 정책을 펼치고 있다.
전문가들은 저출산 극복을 위해 지원 정책뿐 아니라 육아에 따른 사회적 비용을 줄이는 방안과 교육적인 측면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한다.
허창덕 영남대 교수(사회학과)는 "다양한 출산 장려 정책이 쏟아지고 있지만 저출산의 가장 근본적인 문제는 육아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이라며 "경제적인 지원보다 자녀 육아에서 얻을 수 있는 기쁨을 많은 청년들이 공감할 수 있도록 하는 정책이 필요하다 "고 말했다.
경북도는 올해를 '초저출산과의 전쟁'의 해로 선포하고, 저출산 극복에 역량을 집중키로 했다. 부모들에게 각인될 수 있는 현실적 대안 마련에 나설 방침이다.
당장 오는 18일 새해 업무 보고회에서 도청 내 각 실·국 팀장 285명 전원이 참석하는 '끝장 토론'을 열어 보다 실질적이고 당장 효과를 볼 수 있는 대책을 강구할 계획이다.
이 도지사는 "대부분의 저출산 극복 정책이 개별 육아에 초점이 맞춰지다 보니 현실과 다소 거리가 있어 젊은 부부들이 출산을 기피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면서 "앞으로는 '공동체 보육정책'이 필요하다. 아파트 1층 주택을 지자체가 육아시설로 운영하면서 보육교사, 아파트에 사는 전업주부는 물론 자원봉사자를 활용, 동네 주민들이 동네 아이를 함께 키워주는 방식 등 보다 현실적인 방안을 찾아야 한다"라고 말했다.
임성수기자 s018@yeongnam.com
오주석기자 farbrother@yeongnam.com

임성수
편집국 경북본사 1부장 임성수입니다.
오주석
영남일보 오주석 기자입니다. 경북경찰청과 경북도청을 담당하고 있습니다.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