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철우 경북도지사가 간부 공무원들과 함께 13일 도청 브리핑룸에서 '경북도의 저출생 극복 실행계획'에 대해 발표하고 있다. 임성수기자 |
'저출생과 전쟁'을 선포한 경북도가 결혼부터 돌봄까지 피부에 와닿는 저출생 극복 대책을 본격 시행한다. 미혼남녀 만남을 직접 주선하고 전세와 임대주택을 지원하는 등 20대 핵심과제에 모든 역량을 동원하기로 했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13일 이런 내용을 핵심으로 한 '경북도의 저출생 극복 실행계획'을 발표했다. 핵심과제를 포함한 100대 사업에 1조2천억원의 예산이 단계적으로 투입된다.
출산과 결혼의 전 단계에선 만남 주선 프로그램인 '솔로 마을' 사업, 자연스러운 만남을 위한 '청춘동아리', 미혼남녀 '커플 국제 유람선 여행' 등을 마련한다. 경북도가 결혼정보회사 역할을 맡게 되는 셈이다.
또 여성 뿐 아니라 남성 난임 시술비까지 지원하고, 거점형 공공산후조리원을 확충하는 등 임신부터 산후조리까지 패키지로 출산을 돕는다.
주거 분야에선 3자녀 이상 가정이 40평형대 집을 마련할 수 있도록 매입과 전세 자금을 3억원(이자 3%)까지 지원하고, 신혼부부에게는 신축약정형 매입임대주택 공급 등 전세부터 큰 집 마련까지 촘촘히 챙긴다.
부모가 아이를 잘 돌볼 수 있도록 육아기엔 오후 4시 퇴근, 초등생 시기엔 오전 10시 출근, 소상공인 6개월 출산휴가 도입, 아빠 출산 휴가 한 달 부여, 아이 동반 근무 사무실 운영 등도 시행한다.
![]() |
이철우 경북도지사가 간부 공무원들과 함께 13일 도청 브리핑룸에서 '경북도의 저출생 극복 실행계획'에 대해 발표하고 있다. 경북도 제공 |
또 경북도는 저출생 극복을 정책 시행을 위해 정부와 국회에도 협조를 요청키로 했다.
특히 정부에는 돌봄 시설 집적화와 규제 일괄 해소, 국가사업 대행 등을 위해 국가 저출생 극복 시범도시인 '돌봄 융합 특구 조성'과 함께 돌봄 사업 권한 이양, 예산 대폭 투입을 요청키로 했다.
22대 국회에는 저출생 극복 특별법과 육아기 근로자 단축근무 의무화 등 출산을 가로 막는 법과 제도 개선을 건의할 계획이다.
이철우 도지사는 "수도권으로 이동을 꿈꾸는 '유목민 사회'가 아니라 자신이 태어난 곳에서 자라고 취직하고 가정을 이루는 '정주형 사회'로 틀을 고쳐야 한다"고 강조했다.
임성수기자 s018@yeongnam.com

임성수
편집국 경북본사 1부장 임성수입니다.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