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사비 급등에…"지방도시 아파트도 분양가 5억 될 수도"

  • 박주희
  • |
  • 입력 2024-05-20  |  수정 2024-05-20 15:09  |  발행일 2024-05-20 제2면
부동산원 대경본부 '부동산 인사이트·전세사기 예방' 특강
<사>아젠다21 공동 주관·영남일보 후원…80여명 참석
공사비 급등에…지방도시 아파트도 분양가 5억 될 수도
한국부동산원 대구경북지역본부와 <사>아젠다21이 공동 주관한 '대구 시민과 함께하는 전세사기 예방 및 부동산 인사이트 데이'가 지난 16일 오후 영남일보 대강당에서 열렸다. 최문기 한국부동산원 대구경북지역본부 지역총괄부장이 '대구 아파트 시장, 어디쯤 와 있고, 어디로 갈 것인가'를 주제로 강연하고 있다. 이지용기자 sajahu@yeongnam.com

"공사비 급등 탓에 이제 지방 도시의 아파트 분양가도 5억원(84㎡ 기준)이 될 겁니다. 실수요자라면 지금이 집을 사거나 상급지로 갈아탈 시점입니다."


지난 16일 한국부동산원 대구경북지역본부가 영남일보 지하 대강당에서 열린 '대구 시민과 함께하는 전세사기 예방 및 부동산 인사이트(Insight) 데이'에서 강사로 나선 최문기 한국부동산원 대경본부 지역총괄부장의 조언이다. 이날 행사는 <사>아젠다21(회장 박정호 변호사)가 공동 주관하고 영남일보가 후원했다.


대구대 부동산학과 대학원 겸임 교수이기도 한 최 부장은 '대구 아파트 시장, 어디쯤 와 있고 어디로 갈 것인가'를 주제로 특강을 했다.


최 부장은 "지난해 하반기 무렵부터 대구 부동산시장 분위기는 직전과 많이 달라졌다. 만촌자이르네·범어자이가 완판됐고 핫이슈였던 '범어 아이파크 1차'는 1순위 평균 청약 경쟁률 15.3대1을 기록했다. 공매로 넘어갔던 빌리브 헤리티지도 상당수 수의계약이 이뤄졌다"며 "최근 1년새 대구 부동산시장에서 인기 단지가 급락했던 2022년 말과 비교해 1억원 정도씩 상승흐름이 있었다"고 했다.

 

공사비 급등에…지방도시 아파트도 분양가 5억 될 수도
한국부동산원 대구경북지역본부와 <사>아젠다21이 공동 주관한 '대구 시민과 함께하는 전세사기 예방 및 부동산 인사이트 데이'가 지난 16일 오후 영남일보 대강당에서 열렸다. 최문기 한국부동산원 대구경북지역본부 지역총괄부장이 '대구 아파트 시장, 어디쯤 와 있고, 어디로 갈 것인가'를 주제로 강연하고 있다. 이지용기자 sajahu@yeongnam.com

공사비 상승 이슈도 거론했다.

 


지난해 전국 평균 분양가는 전용면적 84㎡ 기준으로 5억7천600만원으로 2018년(4억4천300만원)보다 30% 상승했다. 시멘트값이 최근 3년간 40% 오르는 등 자재비·인건비 폭등이 주 원인이다. 최 부장은 "건축비 3억~4억원에 대지비를 고려하면, 향후 지방도 최소 분양가가 5억원이 될 것"이라고 했다.


올해나 향후 1~2년내 서울지역 아파트 분양가격이 3.3㎡(1평)당 1억원이라는 기사도 보게 될 것이라고도 했다.


그는 "수성구 아파트는 2022년 급락했다는 것엔 누구나 공감하지만 2023년 이후엔 수요자들의 매수 포지션마다 가격 등락에 대한 생각이 다르다. 실제 동일지역에서도 단지별로 차별화·디커플링이 나타나고 있다"며 "한국부동산원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을 보면 수성구는 4월 둘째주 상승 전환 이후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수성구도 몰리는 데는 몰릴 수밖에 없다. 경북도 경산·구미 빼고는 다 오르고 있다"고 했다.


또 반등 시장에선 수치도 중요하지만 상승 전환, 폭 축소 등 흐름이 더 중요하다는 의견도 피력했다. 주택가격 예상지표로 주택구입부담지수 추이, 동일 수급권을 고려한 입주 물량, 미분양 추세에 대해 관심을 갖고 봐야한다는 것.


끝으로 최 부장은 "현재 대구 아파트 평균 가격은 2018~2019년 수준이다. 2026~2027년엔 입주물량이 많지 않다. 스마트한 시장 수요자들은 미리 움직인다"며 "부동산보다 주식투자가 더 수익률이 높을 수 있지만 주거 안정성도 고려해야한다. 무주택자는 내 집을 마련하고 1주택자는 상급지로 갈아타야 한다"고 조언했다. 똘똘한 한 채를 사면 물가상승률 이상의 상승은 기대할 수 있지만, 2주택자→3주택자가 되는 것은 다소 무리라는 의견도 함께 피력했다.


이어 김흥규 한국부동산원 시장 관리처 거래신고총괄부 부장은 전세사기를 대해 강연을 했다.


전세사기유형을 △무자본 갭투자 △깡통전세 등으로 보증금 미반환 △선순위 채권 등 부동산 권리관계 허위 고지 △임대차 계약후 매도 등 크게 네가지로 나눴다. 김 부장은 "부동산원은 국토부·경찰청과 공조체계를 구축하면서 전월세 허위매물 모니터링, 선순위 담보대출 방지를 위한 확정일자 연계 등을 통해 전세사기를 막기 위해 노력중"이라며 "사실 전세사기가 아니라 전세사고인 경우가 많다. 주택도시보증공사의 안심전세 앱, 한국부동산원의 매매 및 전세 적정가격을 참고하고 이를 적극 활용하려는 임차인의 자구 노력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박주희기자 jh@yeongnam.com

기자 이미지

박주희 기자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경제인기뉴스

영남일보TV





영남일보TV

더보기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