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물가, 민간소비 증가 떨어뜨렸다…'고령층·저소득층 타격'

  • 박종진
  • |
  • 입력 2024-05-28  |  수정 2024-05-27 18:25  |  발행일 2024-05-28 제3면
한국은행 27일 '고물가와 소비' 보고서 발표

2021년 이후 소비자 물가 12% 이상 누적 상승

민간 소비증가율 4%p 하락, 취약계층 어려움 가중
고물가, 민간소비 증가 떨어뜨렸다…고령층·저소득층 타격
누적 물가상승률 및 상품 서비스 기여도

2021년 이후 소비자 물가가 12% 이상 누적 상승하면서 민간 소비증가율을 4%포인트 가량 떨어뜨린 것으로 분석됐다.


급격한 고물가 충격은 소비 품목 가운데 필수재 비중이 높은 고령층과 저소득층에서 더욱 크게 다가왔다.

한국은행이 27일 발표한 '고물가와 소비 : 가계의 소비바스켓과 금융자산에 따른 이질적인 영향을 중심으로'란 주제의 보고서에 따르면 2021년 1월~지난달 국내 소비자 물가 누적 상승률은 12.8%로 집계됐다. 2010년대 동일 기간(5.5%)보다 7.3%포인트 높은 수치다.

특히 상품 물가 누적 상승률은 15.8%로 2010년대 동일 기간(5.5%)에 비해 3배 이상 높았다. 2021년 1월~지난달 서비스 물가 누적 상승률(10.3%)도 10%를 웃돌았다.

소비바스켓(소비품목 구성)을 고려한 2020년~2023년 누적 실효 물가 상승률은 연령별, 계층별로 차이를 보였다.
60대 이상(16%)이 40~50대·30대 이하(14.3%)에 비해 1.7%포인트, 저소득층(15.5%)이 고소득층(14.2%) 대비 1.3%포인트 높았다.

한국은행은 이 같은 차이를 실효 물가 상승에 음식료품과 에너지 등 필수 품목의 비중이 현저히 높았기 때문으로 풀이했다. 고령층의 경우 물가 상승으로 인한 금융자산의 실질 가치가 하락한 것도 영향을 끼친 것으로 봤다.

보고서는 2021년~2022년 급격한 물가상승이 실질 구매력 축소 등을 통해 민간 소비증가율을 4%p 내외로 낮춘 것으로 분석했다. 이로 인해 코로나 팬데믹 이후 빠르게 진행되던 소비회복 모멘텀이 약화됐다. 최근 물가 상승폭이 줄어들고 있지만 여전히 소비 감소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한국은행 관계자는 "앞으로 물가가 안정됨에 따라 가계 소비가 물가로 인해 위축되는 효과도 점차 약해질 것으로 예상된다"면서도 "고물가는 가계의 실질 구매력을 전반적으로 약화시킬 뿐 아니라 취약층의 경제적 어려움을 가중시키는 부정적인 재분배 효과도 있는 만큼, 물가상승 모멘텀이 재반등하는 경우에 유의하며 적절한 정책 대응을 지속해야 한다"고 말했다.

박종진기자 pjj@yeongnam.com

기자 이미지

박종진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경제인기뉴스

영남일보TV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

영남일보TV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