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경북형 공공배달앱 '먹깨비' 이미지. 영남일보 DB |
공공배달앱의 실효성 논란은 출시 당시부터 꾸준히 제기돼 왔다. 지난 3년간 할인쿠폰 및 홍보비로 총 71억원(도비26억원·시군비 44억8천만원)이 투입됐지만, 금액 대비 효율성이 낮다는 지적이 잇따랐다. 배달 시장의 90% 이상을 차지하는 민간앱을 공공배달앱이 대체하지 못한다는 것이 주된 이유다.
때문에 먹깨비의 재계약은 불투명한 상황이다. 할인 쿠폰 발급 비용을 전담하는 경북도 등 지자체가 공공배달앱의 지속 여부를 고심하고 있다. 앞서 경북도는 먹깨비와의 업무협약을 체결하면서 서비스 기간을 올 6월말로 명시했다. 이후 공공배달앱의 실효성 등을 이유로 재계약 대신 '6개월 연장'을 결정했다.
경북도 관계자는 "갑작스러운 공공배달앱 종료에 따른 혼란 방지 및 시·군별 운영 방향 마련을 위해 서비스 기간을 6개월 연장했다"고 말했다.
먹깨비와 같은 이유로 공공배달앱 사업을 접는 지자체도 속출하고 있다. 강원도 공공배달앱 '일단시켜'는 출시 3년 만에 철수했고, 충남도 '소문냔샵', 대전시 '휘파람',경남 거제시 '배달올거제' 역시 사업성을 이유로 지난해 서비스를 접었다.
경북에서도 공공배달앱 운영을 놓고 의견이 엇갈리고 있다. 22개 시·군 중 먹깨비를 처음 도입한 포항시는 지난 6월말 공공배달앱 서비스를 잠정 중단했다. 포항시의회에서 예산을 반영하지 않은 탓이다. 오는 9월 추경에서 사업비를 확보하지 못하면 철수 절차를 밟게 된다.
김진엽 경북도의원은 올 추경 심의에서 "공공배달앱의 사업비 대비 효과가 부족한 만큼, 사업 지속 여부를 재검토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반면, 공공배달앱의 실질적 수혜자인 소상공인들은 기존 대형 민간 배달앱의 횡보를 막기 위해선 먹깨비 운영을 유지해야 한다고 주장한다.먹깨비의 경우 중개수수료가 1.5%로 저렴한 반면, 민간앱은 9.8%의 배달 수수료와 별도 광고비 등을 요구하기 때문이다.
![]() |
경북도청신도시에서 족발집을 운영하는 김지현씨가 먹깨비 주문을 받고 있다. 오주석 기자 |
경북도청신도시에서 족발집을 운영하는 김지현(52)씨는 "3만6천원짜리 족발을 팔 경우, 실제로 손에 들어오는 돈이 민간앱은 3만1천원, 공공앱은 3만5천원으로 차이가 극명하다"며 "공공앱이 없다면 민간앱의 횡포와 소상공인의 소모적 경쟁은 지금보다 심각해 질 것"이라고 우려했다. 그러면서 "매주 일요일 지급되는 할인쿠폰을 이용하는 고객이 늘어나는 만큼, 공공앱이 유지되길 고대한다"고 했다.
경북도 관계자는 "공공배달앱 운영과 철수 방안을 모두 검토하고 있다. 협의를 거쳐 최대한 빠른 시일내에 결정할 것"이라고 밝혔다.
먹깨비는 2021년 경북도와 3년 계약을 체결하고 경북지역 진출을 확정했다. 배달의민족, 쿠팡이츠 등 민간배달앱의 시장 독과점 문제를 해결하고 소상공인과 소비자에게 더 많은 혜택을 내세운 먹깨비는 출시 초기부터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다.
20일 기준, 경북지역 누적 주문 수 328만여건, 매출액 800억원을 달성했다. 이는 출시 20개월 차였던 지난해 4월 누적 매출액 400억 대비 두 배 늘어난 수치다.
한편, 최근 정부는 외식업 경쟁력 강화 패키지 사업 분야에 '공공 배달 앱 활성화'를 추가, 공공배달앱 살리기에 나섰다. 앱을 운영하는 시·도에 최대 1억원의 예산을 지원하는 등 공공배달앱 이용을 장려하고 있어 경북도의 배달앱 철수 결정에 일정 부분 영향을 끼칠 것으로 보인다.
오주석기자 farbrother@yeongnam.com

오주석
영남일보 오주석 기자입니다. 경북경찰청과 경북도청을 담당하고 있습니다.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