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경북대 전경. 영남일보DB |
최근 잇따라 발생한 경북대와 전북대의 개인정보 유출 사고와 관련해 개인정보보호위원회(이하 개인정보위)가 본격적으로 조사를 진행할 예정이다.
5일 영남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개인정보위는 최근 개인정보 유출 사고가 발생한 두 대학에 대한 조사에 나설 방침이다.
이번 조사를 통해 개인정보 유출 원인 및 법 위반 사항이 있는지 여부 등을 들여다 볼 계획이다.
또 대학의 개인정보 보호 역량 강화에도 나선다.
개인정보위 관계자는 "재발 방지 등을 위해 경북대와 전북대의 개인정보 유출 사고에 대해 면밀한 조사를 진행할 것"이라며 "최근 대학에서 잇따라 발생한 개인정보 유출 사례를 계기로 대규모 대학의 경우 자격을 갖춘 CPO(개인정보 보호 책임자) 지정 의무화와 개인정보보호 수준 평가 등을 통해 대학의 개인정보 보호 역량 강화도 추진하겠다"고 전했다.
한편, 최근 경북대에 이어 전북대에서 대규모로 학생 개인정보가 유출되는 일이 발생했다.
경북대는 지난달 15일 대학원생 118명에게 '대학원 조기 수료 및 졸업 안내' e메일을 발송하면서 대량의 개인정보를 유출했다. 경북대 대학원 재학생 5천905명의 개인정보(이름·소속·학번·이수학점·평점 평균 등)가 e메일로 발송된 것이다.
경북대에서 개인정보 유출이 발생한 지 보름 만에 이번엔 전북대에서도 학생 등의 개인정보가 무더기로 유출됐다.
전북대에 따르면, 지난 달 28일 오전 3시와 오후 10시, 오후 11시 20분 등 세 차례에 걸쳐 대학 통합정보시스템인 '오아시스'가 해킹돼 학생들의 개인정보가 대거 빠져나갔다. 유출된 개인정보는 학생과 졸업생·평생교육원 회원 등 32만 여명의 이름과 주민등록번호, 전화번호, 이메일, 학사 정보 등이다.
노진실기자 know@yeongnam.com

노진실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