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달 30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국무회의에서 개회 선언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
윤석열 대통령이 15일 광복절을 맞아 '특별사면'을 단행할 것으로 알려지면서 사면 대상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이번 사면은 '민생·경제'에 방점이 찍힐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김경수 전 경남도지사 등 정치인 사면·복권 여부도 관전 포인트가 될 전망이다.
법무부는 8일 오후 사면심사위원회를 열고 특별사면·복권 후보자를 가릴 예정이다. 윤 대통령은 사면심사위에서 상신한 특사 후보자 명단을 검토한 뒤 오는 13일 예정된 국무회의 심의를 거쳐 최종 결정한다. 대통령실은 광복절 특별사면·복권과 관련해 각계의 다양한 의견을 청취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정치권은 이번 광복절 특별사면에서도 올해 설 특사와 마찬가지로 서민·영세업자 위주의 '민생 특사' 기조를 이어가고 정치인 사면은 최소화할 것으로 보고 있다. 생계형 사범 사면 및 영세 사업자 행정제재 감면 등으로 어려운 경제 상황에서 '경제 살리기'에 진력하겠다는 메시지를 낼 것이란 관측이다. 윤 대통령은 올해 설 특사에서도 버스·택시·화물 운전 종사자와 영세 어민, 식품 접객업자 등 45만5천398명에 대한 행정제재를 특별 감면했고, 김관진 전 국방부 장관 등 여야 정치인은 7명으로 정치계 사면은 최소화한 바 있다.
정치권에서는 김경수 전 경남지사, 조윤선 전 문체부 장관 등이 이번 사면 또는 복권 대상에 오를 것으로 보고 있다. 이 가운데 핵심은 김경수 전 지사의 복권 여부다. 김 전 지사는 드루킹 댓글 조작 사건으로 징역 2년을 선고받고 복역하다 복권 없이 사면만 이뤄졌다. 피선거권 제한(2027년 12월까지)은 사라지지 않았다.
다만 김 전 지사 복권에 대한 야당의 구체적 요청이 없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복권 가능성이 낮다는 전망도 나온다. 통상 특사를 앞두고 여야가 사면 대상을 논의하는 소통 과정이 있었으나 현재 극한 대치 중인 국회 상황을 고려할 때 정치인 사면은 매우 제한적으로 이뤄질 가능성이 크다는 전망에 무게가 실린다.
정재훈기자 jjhoon@yeongnam.com

정재훈
서울본부 선임기자 정재훈입니다. 대통령실과 국회 여당을 출입하고 있습니다.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