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시 문무대왕면에 있는 한수원 본사 전경. 전준혁기자 jjh@yeongnam.com |
경북 경주시에 소재한 한국수력원자력의 핵심부서 이전 논란(영남일보 2024년 9월 3일자 1면 보도)은 경주시민들에게 상처와 불신을 남겼다.
한수원과 산업통상자원부가 "사실이 아니다"라는 입장을 밝히며 일단락된 듯 했지만 '언제든지 떠날 수 있는 기관'이란 씻기 힘든 또 하나의 트라우마를 새긴 것이다.
지난주 한수원이 세종시 인근 충북 오송역 근방으로 수출사업본부 이전을 실무진에서 검토 중이라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경주시를 비롯한 동경주 일대가 발칵 뒤집혔다.
이전 예정 부서는 지난 2022년 신설한 수출사업본부였다. 유럽·아시아 사업 개발 및 북미 시장 개척 등 원전 수출 성공을 위해 신설된 이 부서에는 사업개발처, SMR 사업실, 체코·폴란드 사업실, 해외원전건설처 등 220명이 근무하고 있다.
여론이 들끓자 한수원은 지난 3일 밤 늦게 '한수원이 수출사업본부의 근무지 이전을 추진한다는 기사는 사실이 아닙니다'라는 한 줄 보도자료로 발뺌에 나섰다.
산업통상자원부도 4일 정책브리핑을 통해 "한수원의 본사는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처분시설 유치지역 지원에 관한 특별법 제17조 및 공공기관 지방 이전 정책에 따라 2016년 경주시로 이전했으며, 정부는 이러한 방침을 재검토하거나 변경한 바 없다"고 밝혔다.
경주시 문무대왕면에 있는 중·저준위 방폐장. 전준혁기자 jjh@yeongnam.com |
한수원 본사는 특별법에 따라 방폐장을 짓는 조건으로 경주로 이전했다. 한수원의 일부인 수출사업본부를 다른 지역으로 옮기는 것 자체가 법률 위반이 될 수 있다는 것을 고려하지 않은 것이다.
일각에서는 부서 이전 추진과 관련, 경주시와 산업부 등을 대상으로 '여론 떠보기'라는 추측까지 나오고 있다.
경주 읍천항에서 바라본 월성원전. 전준혁기자 jjh@yeongnam.com |
2030년 한빛원전을 시작으로 한울원전(2031년), 고리원전(2032년), 월성(2047년), 신월성(2042년), 새울(2066년) 순으로 임시저장시설이 포화상태가 된다. 고준위 방폐장 건설을 위한 첫 단추인 특별법이 발의된 상태이지만 여야 의견 차로 아직 국회 문턱을 넘지 못하고 있다. 임시저장시설이 영구핵폐기장이 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경주시 관계자는 "국내외 여러 가지 원전산업이 산재해 있는데, 한수원은 이를 추진함에 있어 경주시와 시민과 함께 동반성장 및 상생할 수 있도록 고심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장성재기자 blowpaper@yeongnam.com
장성재 기자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