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남 전 대통령실 선임행정관의 '한동훈 공격 사주 의혹'이 확산되고 있다. 현재 서울보증보험 감사인 김 전 행정관이 지난 국민의힘 7·23 전당대회 과정에서 유튜브 채널 '서울의 소리'를 통해 당시 한동훈 후보를 공격하도록 사주했다는 논란이 당내 및 당정 갈등으로 번진 것이다.
2일 정치권에 따르면 한 대표는 전날 자신의 SNS를 통해 김 전 선임행정관을 겨냥한 글을 올려 해당 문제를 부각했다. 한 대표는 "현재 정부투자 금융기관 감사인 사람이 지난 전당대회 당시 좌파 유튜버와 직접 통화하면서 저를 어떻게든 공격하라고 사주했다고 한다"며 "국민들과 당원들께서 어떻게 보실지 부끄럽고 한심하다"고 지적했다.
이는 실명을 밝히진 않았지만 '서울의 소리'가 최근 녹취록을 공개한 김 전 선임행정관을 언급한 것이다. 해당 채널의 녹취에 따르면 김 전 선임행정관은 서울의 소리와 통화에서 "김건희 여사가 한동훈 후보 때문에 죽으려고 한다"면서 "이번에 그거(한 대표가 비대위원장 당시 총선 여론조사 당비를 이용해 자신의 대선인지도 여론조사를 시행했다는 의혹) 잘 기획해서 서울의 소리에서 치면 아주 여사가 들었다 놨다 했다고 좋아하겠는데"라고 했다.
국민의힘은 이날 김 전 선임행정관 의혹에 대해 진상 규명 절차에 착수한다고 밝혔다. 국민의힘 한지아 수석대변인은 언론 공지에서 "보수정당 당원이 소속 정당 정치인을 허위 사실로 음해하기 위해 좌파 유튜버와 협업하고 공격을 사주하는 것은 명백하고 심각한 해당 행위이자 범죄"라고 강조했다. 다만 김 전 행정관은 당 차원의 진상조사 방침이 전해지자 국민의힘을 탈당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김 전 행정관은 이날 오후 법률대리인을 통한 입장문에서 "한 대표와 국민의힘을 이끄는 당직자분들, 당원들 모두에게 이 모든 논란을 일으킨 것에 진심으로 죄송한 마음을 전하며, 당을 떠나기로 결심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일개 유튜브 방송에 당정이 흔들리지 않기를 바란다는 점은 정말 진심"이라고 덧붙였다. 김 전 행정관의 탈당으로 당 차원의 징계는 불가능하지만, 국민의힘은 업무방해 등 법적조치 가능성도 예고했다.
문제는 이를 두고 당 지도부와 친한(친한동훈)계는 배후를 밝혀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지만, 친윤(친윤석열)계는 '개인의 과장과 일탈'일 뿐이라며 확대 해석을 경계했다.
대통령실은 이번 사안과 선을 그으며 당정갈등을 차단하는 분위기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이번 녹취에 대해 "일방적인 주장일 뿐인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 "김 전 행정관 스스로 본인 발언에 대해 허황된 실언"이라고 밝혔다. 김 전 선임행정관도 입장문에서 "당원으로서 이미 대통령실을 그만두고 나서 일어난 일"이라며 "당원으로서 다른 후보자를 돕는 위치에 있었을 뿐 특정 당 대표 후보자를 어떻게 사주를 받아 타격을 줄 수 있는 위치에 있지도 않았다"고 해명했다.
정재훈기자
2일 정치권에 따르면 한 대표는 전날 자신의 SNS를 통해 김 전 선임행정관을 겨냥한 글을 올려 해당 문제를 부각했다. 한 대표는 "현재 정부투자 금융기관 감사인 사람이 지난 전당대회 당시 좌파 유튜버와 직접 통화하면서 저를 어떻게든 공격하라고 사주했다고 한다"며 "국민들과 당원들께서 어떻게 보실지 부끄럽고 한심하다"고 지적했다.
이는 실명을 밝히진 않았지만 '서울의 소리'가 최근 녹취록을 공개한 김 전 선임행정관을 언급한 것이다. 해당 채널의 녹취에 따르면 김 전 선임행정관은 서울의 소리와 통화에서 "김건희 여사가 한동훈 후보 때문에 죽으려고 한다"면서 "이번에 그거(한 대표가 비대위원장 당시 총선 여론조사 당비를 이용해 자신의 대선인지도 여론조사를 시행했다는 의혹) 잘 기획해서 서울의 소리에서 치면 아주 여사가 들었다 놨다 했다고 좋아하겠는데"라고 했다.
국민의힘은 이날 김 전 선임행정관 의혹에 대해 진상 규명 절차에 착수한다고 밝혔다. 국민의힘 한지아 수석대변인은 언론 공지에서 "보수정당 당원이 소속 정당 정치인을 허위 사실로 음해하기 위해 좌파 유튜버와 협업하고 공격을 사주하는 것은 명백하고 심각한 해당 행위이자 범죄"라고 강조했다. 다만 김 전 행정관은 당 차원의 진상조사 방침이 전해지자 국민의힘을 탈당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김 전 행정관은 이날 오후 법률대리인을 통한 입장문에서 "한 대표와 국민의힘을 이끄는 당직자분들, 당원들 모두에게 이 모든 논란을 일으킨 것에 진심으로 죄송한 마음을 전하며, 당을 떠나기로 결심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일개 유튜브 방송에 당정이 흔들리지 않기를 바란다는 점은 정말 진심"이라고 덧붙였다. 김 전 행정관의 탈당으로 당 차원의 징계는 불가능하지만, 국민의힘은 업무방해 등 법적조치 가능성도 예고했다.
문제는 이를 두고 당 지도부와 친한(친한동훈)계는 배후를 밝혀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지만, 친윤(친윤석열)계는 '개인의 과장과 일탈'일 뿐이라며 확대 해석을 경계했다.
대통령실은 이번 사안과 선을 그으며 당정갈등을 차단하는 분위기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이번 녹취에 대해 "일방적인 주장일 뿐인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 "김 전 행정관 스스로 본인 발언에 대해 허황된 실언"이라고 밝혔다. 김 전 선임행정관도 입장문에서 "당원으로서 이미 대통령실을 그만두고 나서 일어난 일"이라며 "당원으로서 다른 후보자를 돕는 위치에 있었을 뿐 특정 당 대표 후보자를 어떻게 사주를 받아 타격을 줄 수 있는 위치에 있지도 않았다"고 해명했다.
정재훈기자

정재훈
서울본부 선임기자 정재훈입니다. 대통령실과 국회 여당을 출입하고 있습니다.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