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고속도로 휴게시설 운영사업이 그들만의 리그가 되어선 안된다는 지적이 나왔다. 국민의힘 윤재옥 (대구 달서구을·사진) 의원실이 한국도로공사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현재 고속도로 임대 휴게소 총 189개 중 69개인 36%가 상위 다섯 개의 기업집단에서 운영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많은 임대 휴게소를 운영 중인 기업집단인 '대보그룹'은 계열업체인 대보유통, 대보건설, 대보디앤에스, 보령물산을 통해 총 26개의 임대 휴게소를 운영하고 있다. 이어 풀무원(14개), KR(12개), SPC(9개), 바이오시스(8개)가 그 뒤를 이었다. 주유소는 대보(30개), 풀무원(13개), 바이오시스(12개), SPC(8개), 와이엠(7개) 순서었다. 고속도로 휴게시설 운영 시장은 흔히 그들만의 리그로 불린다. 특수상권에 해당 될 뿐 아니라, 휴게소와 주유소의 수가 한정되어 입찰을 통해 한국도로공사로부터 운영권을 따내야 하므로 진입장벽이 높다.
현재 임대 휴게소를 운영하는 업체 58개 중 77%인 45개가 2개 이상의 휴게소를 운영 중이다. 5개 이상의 휴게소를 운영하는 업체도 15개나 된다. 반면 최근 3년간 휴게시설 운영 시장에 새로 진출한 업체는 '에스제이오일'과 '더웨이유통' 둘 뿐이다. 더웨이유통은 이미 4개의 휴게소를 운영 중인 '에이치앤디이'의 자회사로 사실상 새로운 업체는 단 하나 뿐이다.
일부 휴게소 운영업체가 운영계약 연장이나 새로운 휴게시설 운영권을 따내기 위해 도로공사 출신의 전관을 영입하는 문제도 지적되고 있다. 운영업체는 최초 계약 후 최대 10년까지 휴게소를 운영할 수 있다. 계약이 5년, 3년, 2년 단위로 이뤄져, 5년 차와 8년 차에 계약연장을 거쳐야 한다. 이때 계약연장의 기준으로 활용되는 것이 바로 도로공사가 매년 실시하는 '휴게소 운영 서비스 평가'다. 이 평가에서 높은 등급을 받은 운영업체는 기존 계약을 연장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차후 다른 휴게소 운영권 입찰에 참가할 때도 가점을 받는다. 이렇다 보니 휴게소 운영업체들은 감독기관인 공사 퇴직 임직원을 고용하곤 한다는 이야기가 공공연히 나돈다. 임호기자

임호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