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대 교수 및 연구자 179명은 19일 윤석열 대통령의 퇴진을 요구하는 시국선언문을 발표했다. 18일에는 안동대 교수 33명이, 지난 15일에는 대구대 교수·연구자 50명이 비슷한 내용의 시국선언을 했다. 서울 등 전국 각 지역의 대학 교수 및 연구자들의 시국선언이 이어지고 있는 상황에서 보수 텃밭의 대학교수·연구자들이 시국선언 대열에 동참한 것이어서 주목받는다.
대한민국 현대사에서 민주주의 근간이 흔들릴 때, 우리 사회의 정의가 심각하게 훼손됐을 때 대학교수들의 시국선언이 있었다. 나라의 현재와 미래를 걱정하는 지성인들이 집단으로 경고를 하는 행위이기도 했다. 1970년대에는 유신체제 철폐 및 독재 타도를, 1980년대 권위주의 정권 때는 민주화를 요구했었다. 박근혜 정부의 국정농단 사태, 문재인 정부 때의 조국 사태가 국민적 공분을 불러 일으켰을 때도 대학교수들은 시국선언을 통해 당시 정권에 경고장을 날렸다.
윤 대통령은 시국선언이 이어지는 현 상황을 무겁게 받아들여야 한다. 물론 시국선언을 한 교수들이 해당 대학의 교수 전체를 대표하는 것은 아니다. 그렇다고 일부 교수의 정치적 행위로 간주하고 외면한다면 국민적 저항으로 이어질 가능성도 있다. 지금 국민 정서가 그렇다. 윤 대통령은 공정한 국정 운영을 약속하며 출범했다. 그런데 대통령의 소통 부족, 민생경제 침체, 청년 실업, 특히 김건희 여사를 둘러싼 각종 의혹을 처리하는 방식에서 국민의 신뢰를 잃었다. 윤 대통령은 하루라도 빨리 국정 쇄신을 통해 달라지고 있다는 것을 국민에게 보여줘야 한다. 그게 현 난국을 헤쳐갈 수 있는 유일한 해결책이다.
대한민국 현대사에서 민주주의 근간이 흔들릴 때, 우리 사회의 정의가 심각하게 훼손됐을 때 대학교수들의 시국선언이 있었다. 나라의 현재와 미래를 걱정하는 지성인들이 집단으로 경고를 하는 행위이기도 했다. 1970년대에는 유신체제 철폐 및 독재 타도를, 1980년대 권위주의 정권 때는 민주화를 요구했었다. 박근혜 정부의 국정농단 사태, 문재인 정부 때의 조국 사태가 국민적 공분을 불러 일으켰을 때도 대학교수들은 시국선언을 통해 당시 정권에 경고장을 날렸다.
윤 대통령은 시국선언이 이어지는 현 상황을 무겁게 받아들여야 한다. 물론 시국선언을 한 교수들이 해당 대학의 교수 전체를 대표하는 것은 아니다. 그렇다고 일부 교수의 정치적 행위로 간주하고 외면한다면 국민적 저항으로 이어질 가능성도 있다. 지금 국민 정서가 그렇다. 윤 대통령은 공정한 국정 운영을 약속하며 출범했다. 그런데 대통령의 소통 부족, 민생경제 침체, 청년 실업, 특히 김건희 여사를 둘러싼 각종 의혹을 처리하는 방식에서 국민의 신뢰를 잃었다. 윤 대통령은 하루라도 빨리 국정 쇄신을 통해 달라지고 있다는 것을 국민에게 보여줘야 한다. 그게 현 난국을 헤쳐갈 수 있는 유일한 해결책이다.

논설실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