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8년 지방신문 유일 '회연장학금' 운영...장관·교수·기업대표 배출

  • 백승운
  • |
  • 입력 2024-12-29 18:39  |  수정 2024-12-30 10:19  |  발행일 2024-12-28
1978년 지방신문 유일 회연장학금 운영...장관·교수·기업대표 배출
1979년 2월27일 영남일보 회의실에서 열린 1979학년도 회연장학증서 수여식에서 이재필 영남일보 사장이 인사말을 하고 있다.영남일보 DB

영남일보는 일찍부터 지역인재를 육성하기 위해 장학사업을 펼쳐왔다. 첫 시작은 1978년부터 지급한 '회연(晦淵)장학금'이다. 당시 지방신문으로는 유일하게 시행한 장학사업이다.

◆회연장학금 탄생 배경
회연(晦淵)은 1956년 7월6일부터 1972년 1월19일 별세하기까지 16년간 영남일보 사장을 지낸 고(故) 이순희 사장의 호다. 1908년 대구에서 출생한 이순희 사장은 일본 동지사(同志社)고등상업학교를 나왔으며, 귀국 후엔 대구 북구 무태동에서 사립간이공민학교를 설립하는 등 일찍부터 민족계몽운동에 눈을 떴다. 학업을 마친 후 향리에서 첫 사업으로 농촌청년의 계몽교육을 시작한 것은 일제 치하 민족의 앞날을 걱정한 깊은 뜻이 담겨 있었다.

1977년 5월20일 영남일보 이사회에서 만장일치로 사장에 선임된 이재필씨(이순희 사장의 장남)는 부친의 이 같은 유지를 받들어 회연장학회를 설립하고, 취임 이듬해인 1978년 학업성적이 우수한 경북도내 대학생 12명에게 장학금을 지급했다. 당초 10명에게 지급할 계획이었으나 심사 후에는 경북대 5명, 영남대 3명, 계명대 2명, 한국사회산업대(현 대구대) 1명, 효성여대(현 대구가톨릭대) 1명 등 모두 12명에게 1년 등록금 전액을 장학금으로 지급했다.

 

1978년 지방신문 유일 회연장학금 운영...장관·교수·기업대표 배출
영남일보 1978학년도 회연장학금 장학생 대표인 이천효 전 동부산대 교수가 받은 당시 장학증서.<이천효 교수 제공>

◆종간으로 중단된 장학사업
회연장학금은 1980년까지 3년동안 해마다 12명의 대학생에게 1년치 등록금 전액을 장학금으로 지급했다. 1기 회연장학금 장학생 대표였던 이천효 전 동부산대 교수는 당시를 다음과 같이 회상했다.

"회연장학금은 혜택이 상당히 컸습니다. 1년 등록금 전액이니까 적잖은 금액입니다. 당시 대외 장학금이 흔치 않았는 데다 다른 곳도 아닌 언론사인 영남일보에서 주는 장학금이니 더 특별한 감정을 가졌습니다. 저는 회연장학금 수상이 계기가 돼 은혜에 보답하는 심정에서 늘 제가 가진 능력을 사회를 위해 봉사한다는 마음가짐으로 살아오고 있습니다."

하지만 지방 언론사로서 유일무이하게 시행한 회연장학금 지급은 불과 3년만에 중단됐다. 신군부의 언론통폐합 조치로 영남일보가 1980년 11월25일자 지령 1만1천499호로 종간됐기 때문이다. 광복을 맞은 1945년 10월11일 한강 이남에서 가장 먼저 창간한 영남일보는 이후 매일신문에 흡수통합되는 굴욕을 맞는다. 이로 인해 회연장학금 지급이 중단된 것은 물론 당시 회연장학금 수혜자들이 그동안 사회에서 어떤 활동을 하고 있는지 자세히 살펴볼 여력조차 없었다. 최근 1·2회 장학생 명단을 토대로 일부 장학생을 추적해 본 결과 장관, 중앙부처 고위공직자, 공기업체 간부, 대학교수, 교사, 기업체 대표 등 다양한 영역에서 활동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978년 지방신문 유일 회연장학금 운영...장관·교수·기업대표 배출
영남일보 1978학년도 회연장학생 선발을 알리는 사고.<영남일보 DB>

◆희망인재 프로젝트로 계승
종간됐던 영남일보가 1988년 복간됐지만 회연장학사업은 오랜 기간 잊혔다. 복간 후 경영난과 IMF 외환위기 등으로 사세(社勢)가 크게 위축되면서 과거 영남일보의 발자취를 되돌아보고 계승해 나갈 여유가 없었기 때문이다. 그러다 2012년 1월12일 전기를 맞는다. 당시 이채필 고용노동부 장관이 영남일보를 방문한 것.

이 장관은 업무차 대구에 오면서 영남일보를 꼭 방문하기로 결심했다고 한다. "영남일보 회연장학금 2회 수혜자입니다"라고 자신을 소개한 이 장관은 당시 손인락 사장을 만나 대학시절 어려울 때 장학금을 준 영남일보를 잊지 않고 있다는 것을 영남일보에 직접 밝히고 싶었다고 했다. 이 장관은 영남일보와의 통화에서 "(1980년) 장학금 수여식에서 이재필 사장이 '나라와 사회는 항상 어려움이 있고 문제가 있다. 어떤 어려움이 있더라도 결국 이를 극복하는 주체는 사람이다. 회연 장학생들이 앞으로 시대적·사회적 어려움을 극복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해줬으면 좋겠다'고 한 말씀을 기억하고 있다"고 밝혔다.

지역사회 기여 방법을 고심하고 있던 차에 이 장관의 이야기를 전해 들은 배성로 영남일보 회장은 인재육성사업(장학사업)을 하기로 마음먹고 형편이 어려운 중·고생을 지원하는 '희망인재 프로젝트'에 착수해 오늘에 이르고 있다.

영남일보 창간 80주년 기념 사업단

 

기자 이미지

백승운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기획/특집인기뉴스

영남일보TV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

영남일보TV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