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무안공항 로컬라이저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를 계기로 정부가 활주로 근처 항행 안전시설에 대한 위험성을 전수 조사한 결과, 모두 7개 공항의 9개 시설에서 개선 조치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국토교통부가 지난 2∼8일 인천·김포국제공항 등 전국 13개 공항의 방위각 시설(로컬라이저·LLZ) 등 항행안전시설의 위치와 재질 등 실태를 조사한 결과에 따른 것이다.
13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이번 조사는 13개 공항의 로컬라이저 32개와 활공각 제공 시설(GP), 거리측정 장치(DME) 51개, 전방향 표지(VOR) 17개소를 대상으로 이뤄졌다.
조사 결과, 무안공항을 비롯해 광주공항·여수공항·포항경주공항 등 모두 7개 공항에서 항공기와의 충돌 시 피해를 키울 것으로 우려되는 로컬라이저 시설이 발견됐다.
그러나 활공각 제공 시설과 거리측정 장치 등 기타 시설은 충돌 시 위험이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고 국토부는 설명했다.

장준영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