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 20일(현지시간) 취임식 직후 백악관 집무실에서 행정명령과 사면을 발표하면서 조 바이든 전 대통령의 서한을 들고 있다. 연합뉴스 |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이 취임과 동시에 내린 행정명령과 지시가 한국 산업계에 메가톤급 충격을 안겨 주고 있다. 지역 산업계는 앞으로 닥칠 타격을 우려하는 등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20일(현지시각) 이민·대외정책뿐 아니라 전세계 경제·산업계에 파격적인 변화가 불가피한 100여개에 달하는 행정명령을 예고했다.
먼저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사에서 전임 바이든 정부의 '전기차 의무화' 정책을 폐기할 것임을 공식화했다. 대구경북 주력 산업인 배터리·자동차부품 업계에 청천벽력 같은 소식이 전해진 셈이다. 특히 지역 산업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배터리 소재 업계에 큰 타격이 우려된다.
10~20% 수준의 보편 관세 부과를 예고한 점도 지역 자동차부품업계에 영향을 미칠 전망된다. 지역 차부품 업체의 북미 수출 비중이 압도적으로 높기 때문이다. 지난해 기준 대구의 대미 자동차부품 수출 비중은 35.5%(4억2천만달러), 경북은 60.3%(약 9억달러)였다. 캐나다와 멕시코를 통해 미국으로 차부품을 수출하고 있는 지역 기업도 타격은 불가피할 전망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직후 캐나다와 멕시코 제품에 대해 25%의 고관세를 당장 다음 달부터 부과하겠다고 밝혔기 때문이다.
트럼프 대통령이 외국과의 불공정한 무역 관행과 기존 무역협정에 대한 재검토 등의 지시도 내려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에 영향을 미칠지 주목된다. 21일 공개된 미국 백악관의 대통령 각서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모든 무역협정이 미치는 영향에 대해 검토하라고 지시했다. 한국무역협회 대구경북지역본부 한기영 차장은 "캐나다와 멕시코에 25%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했는데, (이렇게 되면) 양국에 진출한 지역 차부품 업체는 타격이 불가피하다"며 "다만 보편 관세의 궁극적 의도가 중국 견제인 만큼 중국 제품의 경쟁력이 떨어지면 지역에서 생산하는 제품이 반사이익을 얻을 수는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동현기자 shineast@yeongnam.com

이동현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