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3일 오후 서울 중구 하나은행 현황판에 코스피 등 지수가 표시되고 있다. 이날 코스피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63.42포인트(2.52%) 내린 2,453.95에, 코스닥은 24.49포인트(3.36%) 내린 703.80에 장을 마감했다. 연합뉴스 |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부과가 현실화 되면서 3일 국내 금융시장이 요동쳤다.
3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코스피는 이날 트럼프 행정부 관세 부과 여파로 2% 이상 급락해 2천500선이 붕괴됐다. 전 거래일 대비 2.52%(63.42포인트) 하락한 2,453.95로 장을 마쳤다. 지수는 전장 대비 1.93% 내린 2,468.74로 출발해 하락 폭이 빠르게 커졌고, 장중 2,437.61까지 떨어지기도 했다.
외국인은 8천722억원, 기관은 3천730억원 어치를 팔아치우며 지수를 끌어내렸다. 반면 개인은 1조1천276억원 순매수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행정명령에 서명하고 4일부터 캐나다와 멕시코산 제품에 25%, 중국 제품에는 10%의 추가 관세를 부과한다고 밝히면서 '관세 전쟁'에 대한 우려가 커진 영향으로 보인다.
코스닥도 전 거래일 대비 3.36%(24.49포인트) 하락한 703.80으로 거래를 마쳤다.
원·달러 환율은 이날 한때 1천470원대까지 급등했다. 서울 외환시장에서 미국 달러화 대비 원화 환율은 전 거래일보다 13.3원 오른 1천466.0원으로 출발해 상승 폭이 커지면서 오전 중 1천472.5원까지 뛰어올랐다. 이후 상승 폭을 줄여 오후 3시30분 종가 기준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보다 14.5원 상승한 1천467.2원을 기록했다. 주간 거래 종가 기준으로 지난달 13일(1천470.8원) 이후 3주 만에 가장 높았다.
비트코인 가격이은10만 달러 선이 붕괴되며 가상화폐 시장도 들썩였다. 가상화폐 정보 플랫폼 코인게코에 따르면 3일 오후 4시41분 기준 비트코인 1개당 가격은 24시간 전보다 5.2% 내린 9만4천444달러에 거래됐다.
트럼프 대통령이 이날 유럽연합(EU)에 대한 관세 부과를 예고해 금융시장의 변동성은 더욱 확대될 전망이다. 증권가에선 트럼프 관세 정책 장기화 여부에 대해 주목하고 있다.
박상현 iM증권 연구원은 "트럼프 대통령이 협상용이 아니라고 했지만, 자동차 및 에너지업체 등 주요 기업들의 반발 등을 고려할 때 캐나다 및 멕시코에 대한 관세 부과가 장기화할지는 좀 더 확인해 볼 필요가 있다"면서 "관세 부과가 물가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관세 부과 대상 국가 확대 및 관세율의 추가 인상도 주시해야 한다. 결국 캐나다, 멕시코 및 중국 다음으로 관세가 부과될 유력 대상국은 EU, 일본, 한국 및 대만이 될 공산이 높다"고 전망했다.
최미애기자 miaechoi21@yeongnam.com

최미애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