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정치학 이론 중에 미치광이 전략(Madman Theory)이라는 게 있다. 자신이 어떤 일을 벌일지 모르는 '또라이' 라는 인식을 상대에게 심어줘, 미친 짓을 벌이기 전에 요구를 받아들이라고 압박하는 전략이다. 미치광이 전략은 상대가 정상적인 사고를 하는 사람이라야 성공할 수 있다. 상대 역시 미치광이 전략으로 맞대응하면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없다. 동시에 치고 빠지는 타이밍을 잘 선택해야 최상의 효과를 올릴 수 있다. 그래서 미치광이라는 명칭과 달리 합리적 계산하에 이뤄지는 고도의 이성적인 전략이다.
미치광이 전략은 냉전 시대 리처드 닉슨 미국 대통령의 대외정책에서 시작됐다. 당시 닉슨 대통령과 헨리 키신저 국무장관은 다른 나라 정상들에게 자신들이 작은 일에도 발끈해서 핵전쟁을 일으킬 수 있는 인물로 믿게 했다. 이에 소련은 북베트남(월맹)을 움직여 미국과의 종전 협상장에 나가도록 했으니 미치광이 전략은 먹혀들었다.
미치광이 전략을 잘 활용하는 인물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다. 캐나다와 멕시코에 25%의 관세를 부과키로 한 지 이틀 만인 지난 3일 (현지시각) 이를 한 달간 유예했다. 대신 캐나다와 멕시코는 불법 이민 및 펜타닐(마약) 단속을 강화하기로 했다. 관세를 무기로 자신이 원하는 것을 얻는 트럼프식 미치광이 전략이 1기 집권기에 이어 2기 집권기에도 등장한 것이다. 머지않아 트럼프는 한국에도 미치광이 전략을 적용하려 할 것이다. 한국의 방위비 분담금 인상과 한국 기업들의 대미 투자가 목적이다. 우리 정부의 철저한 대비가 필요한 시기다. 김진욱 논설위원
미치광이 전략은 냉전 시대 리처드 닉슨 미국 대통령의 대외정책에서 시작됐다. 당시 닉슨 대통령과 헨리 키신저 국무장관은 다른 나라 정상들에게 자신들이 작은 일에도 발끈해서 핵전쟁을 일으킬 수 있는 인물로 믿게 했다. 이에 소련은 북베트남(월맹)을 움직여 미국과의 종전 협상장에 나가도록 했으니 미치광이 전략은 먹혀들었다.
미치광이 전략을 잘 활용하는 인물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다. 캐나다와 멕시코에 25%의 관세를 부과키로 한 지 이틀 만인 지난 3일 (현지시각) 이를 한 달간 유예했다. 대신 캐나다와 멕시코는 불법 이민 및 펜타닐(마약) 단속을 강화하기로 했다. 관세를 무기로 자신이 원하는 것을 얻는 트럼프식 미치광이 전략이 1기 집권기에 이어 2기 집권기에도 등장한 것이다. 머지않아 트럼프는 한국에도 미치광이 전략을 적용하려 할 것이다. 한국의 방위비 분담금 인상과 한국 기업들의 대미 투자가 목적이다. 우리 정부의 철저한 대비가 필요한 시기다. 김진욱 논설위원

김진욱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