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포항제철소 전경. <포스코 제공> |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철강에 대해 25% 관세를 부과하기로 발표하면서 포항 철강업계는 우려하면서도 관망하는 분위기다. 정부와 관련 업계는 대책회의를 진행하고 있지만 당분간 뾰족한 대응책을 찾기란 어려운 상태다.
포스코 등 포항지역 철강업계는 트럼프 대통령 포고문에 관세의 부과 방식이나 법적 근거 등이 구체적으로 알려지지 않아 일단 관망하는 분위기다.
![]() |
포스코 등 국내 철강 업계는 철강 관세 부과의 구체적인 내용 파악에 나섰으나, 향후 글로벌 수출 영향에 대해서는 말을 아끼고 있다. 포스코 측은 "철강 관세 부과와 관련한 구체적인 내용이 나오지 않았다. 트럼프발 관세 조치의 내용을 파악하는 중"이라고 했다. 현대제철 관계자는 "봉강형을 생산하는 포항공장에서는 대미 수출에 따른 직접적인 영향은 없다"면서도 "다만, 당진공장에서 생산하는 자동차용 강판은 영향이 미칠 것으로 보임에 따라 미 관세 정책에 대해 모니터링 하는 중"이라고 전했다.
하지만 포항지역 철강업계는 중국 저가 철강 공세로 가뜩이나 어려운 상황에서 미국 수출문까지 좁아지면서 충격을 피해가기 어려울 전망이다. 이번 관세 조치로 글로벌 최대 시장인 미국 시장에 접근하지 못하는 중국의 저가 철강 제품들이 유럽, 동남아 등 세계 각지로 쏟아져 나올 경우 한국산 철강 제품의 가격 경쟁력은 더욱 악화할 것으로 보인다.
철강 산업이 주력인 포항에서는 12일 경북도와 포항시, 철강 업계, 2차전지 업계 관계자들이 참석해 이철우 경북도지사 주재로 긴급대책회의를 열어 대응책 마련에 나선다.
지역 철강기업 관계자는 "트럼프발 관세 정책은 기업 차원의 대응을 넘어섰다"며 "정부가 트럼프 정부와의 협상을 통해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김기태기자 ktk@yeongnam.com
김기태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