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미국으로 수입되는 모든 철강 및 알루미늄 제품에 관세 25% 부과를 공식 발표한 11일 경기도 평택항에 철강 제품이 쌓여 있다. 한국은 2018년 트럼프 1기 때 협상을 통해 대미 철강 수출 제품 263만t 물량에 대해 무(無)관세를 적용받아왔다. 하지만 미정부가 관세를 단순화해 예외나 면제 없이 25%를 일괄 적용하겠다고 밝힘에 따라 그동안 수출량 제한 조건으로 면제받던 한국산 철강 제품도 25% 관세가 적용될 것으로 보인다.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0일(현지시간) 발표한 철강·알루미늄 25% 관세가 내달 한국에 전면적으로 적용될 전망이다. 이에 따라 한국도 미국 발(發) '관세 폭탄'의 영향을 한국도 피할 수 없게 됐다.
트럼프 대통령이 이날 서명한 철강·알루미늄 관세 포고문에는 집권 1기 때 25% 관세 예외를 적용했던 국가들에 대해 일률적으로 25% 관세를 적용하겠다는 내용이 담겼다. 앞서 2018년엔 미국은 한국을 비롯해, 아르헨티나, 호주, 브라질, 캐나다, 멕시코, 유럽연합(EU), 일본, 영국 등에 대해 관세 예외를 적용한 바 있다.
포고문엔 “이들 국가와의 합의가 국가 안보 우려를 해소하는데 효과적이고 장기적인 대안을 제공하지 못했다"며 3월12일자로 기존 합의를 폐기하기로 했다는 내용도 포함됐다.
한국은 2018년 트럼프 1기 때는 미국과의 협상을 통해 별도 합의를 도출하고, 대미 철강 수출에서 263만톤에 대해 무관세를 적용 받아왔다. 그러나 이번 2기 발표에 따라 '무역전쟁' 영향을 피할 수 없게 됐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한, “앞으로 4주 동안 아마도 매주 (무역 관련) 회의를 할 것"이라며 “앞으로 몇주 간 철강과 알루미늄뿐 아니라 반도체와 자동차, 의약품에 대해 들여다볼 것이고, 그외 두어개 품목에 대해서도 볼 것"이라고 언급했다.
이 발언에 따라 한국 주요 수출품인 자동차와 반도체도 미국의 관세 부과 대상에 포함될 가능성도 제기된다. 만약, 관세가 부과된다면 한국의 대미 수출에 상당한 타격이 우려된다.

서민지
디지털콘텐츠팀 서민지 기자입니다.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