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법무부에서 배정받은 경북 계절근로자 수는 1만2천532명이다. 광역자치단체별 기준으로 전국에서 가장 많다. 배정인원의 약 80%가 실제 입국하는 것을 감안하면 올해 처음으로 1만명을 돌파할 것으로 보인다. 2021년 1천명을 넘어선 지 4년 만에 10배나 늘었다. 계절근로자의 급증은 농업인력 고령화, 심각한 일손 부족 등 경북 농촌사회의 문제점을 여실히 보여준다. 계절근로자는 시·군에서 농가 수요와 자체 계획을 수립해 출입국사무소로 신청하면 사전심사를 거쳐 배정인원을 확정한다. '농도(農道)'인 경북의 산업적 특성과 '농업대전환'을 통해 대한민국 농업의 미래를 열어가려는 경북도의 정책 방향이 맞물려 그 수요가 치솟고 있다.
경북도는 올초 농업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2030 농업대전환 7대 핵심전략'을 발표했다. 그중 하나가 농촌인구 고령화, 일손 부족에 대응하는 것이다. 해법으론 후계 청년농업인 육성과 농번기 영농인력 공급이다. 영농인력 공급의 핵심이 계절근로자다. 경북 농업에 필수요소가 된 것이다. 계절근로자 없으면 농사 못 짓는다는 얘기가 그냥 나오는 게 아니다.
경북도는 늘어난 계절근로자를 위해 공공형 계절근로자센터를 확대 운영하고 기숙사 건립도 추진 중이다. 단순한 인력 충원이 아닌 체계적 관리, 외국인 근로자의 원활한 적응을 지원한다는 점에서 긍정적이다. 그동안 농업은 고되고 힘든, 자식에게 물려주고 싶지 않은 노동으로 여겨졌다. 농업대전환이 성공해 외국처럼 농업을 가업으로 물려주는 시대가 오길 바란다. 계절근로자가 그 변화의 새 동력이 되길 기대한다.
경북도는 올초 농업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2030 농업대전환 7대 핵심전략'을 발표했다. 그중 하나가 농촌인구 고령화, 일손 부족에 대응하는 것이다. 해법으론 후계 청년농업인 육성과 농번기 영농인력 공급이다. 영농인력 공급의 핵심이 계절근로자다. 경북 농업에 필수요소가 된 것이다. 계절근로자 없으면 농사 못 짓는다는 얘기가 그냥 나오는 게 아니다.
경북도는 늘어난 계절근로자를 위해 공공형 계절근로자센터를 확대 운영하고 기숙사 건립도 추진 중이다. 단순한 인력 충원이 아닌 체계적 관리, 외국인 근로자의 원활한 적응을 지원한다는 점에서 긍정적이다. 그동안 농업은 고되고 힘든, 자식에게 물려주고 싶지 않은 노동으로 여겨졌다. 농업대전환이 성공해 외국처럼 농업을 가업으로 물려주는 시대가 오길 바란다. 계절근로자가 그 변화의 새 동력이 되길 기대한다.

논설실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