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요칼럼] 大選과 경북 산불 피해 복구

  • 김진욱
  • |
  • 입력 2025-04-07  |  수정 2025-04-07 07:10  |  발행일 2025-04-07 제23면
[월요칼럼] 大選과 경북 산불 피해 복구
김진욱 논설위원
지난달 22일 의성에서 발생해 안동·청송·영양·영덕까지 황폐화시킨 경북 북동부 지역의 산불은 사상 최대의 피해를 남긴 국가적 참사다. 거센 불길은 순식간에 산을 삼켰고, 마을을 덮쳤으며, 수많은 사람들의 터전을 흔적도 없이 앗아갔다. 이재민들은 예전의 삶으로 돌아갈 수 없을 것 같은 두려움에 휩싸여 있다. 지금 이들에게 필요한 것은 국민적 관심과 손길이다. 하지만 대한민국의 시선은 이들에게서 점점 멀어져 다른 곳으로 향하고 있다.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으로 앞으로 두달간 대한민국의 모든 관심은 차기 대통령선거로 모아질 것이다. 누가 대통령이 되느냐에 따라 대한민국의 미래가 달라지는 만큼, 대선에 관심이 집중되는 것은 당연하다. 특히 진영갈등이 최고조에 달해 있는 지금, 보수진영과 진보진영의 목숨을 건 세(勢) 대결은 투표일 때까지는 우리나라 모든 관심사를 블랙홀처럼 빨아들일 것이다. 지금까지 보여줬던 경북 산불 피해에 대한 관심도 대선에 묻힐 것만 같다.

당장 이철우 경북도지사가 산불 피해 복구를 위해 정치권에 요구하고 있는 특별법 제정부터 대선 정국에서 제대로 먹혀들지 의문이다. 이 지사는 역대급 피해를 입은만큼 특별재난지역 선포같은 기존 복구 대책만으로는 안되기에 특별법 제정을 요구하고 있다. 하지만 대선 레이스가 본격화되면 특별법 제정에 여야가 손잡는 것을 기대하기 어렵다. 전국을 돌며 치러지는 각 정당의 대선후보 경선을 감안할 때, 특별법 제정이 대선전에 성사되기는 쉽지 않다. 당장은 종전과 같은 방식으로 피해 복구가 진행될 수밖에 없다.

예전처럼 피해 복구가 더디게 진행되면 삶의 터전을 잃은 노령층은 자식이 있는 대도시로 이주하고, 귀농했던 청년 농부들은 도시로 떠날 것이다. 지방소멸의 속도가 빨라지는 것이다. 머지 않아 피해지역에서 실제로 벌어질 일이다. 피해지역중 영양·청송은 경북에서 울릉군을 제외하고 인구가 적은 1·2위 지역이다. 지방소멸위험지수에서 의성은 전국 기초자치단체중 3위, 영덕은 12위다. 산불 피해지역은 소멸이 눈앞의 현실이 돼 있는 곳이다. 아주 신속하게 피해를 복구하지 않으면 소멸 속도는 매우 빨라질 것이다. 그래서 필자는 산불 피해 복구를 지방소멸 방지 차원에서 접근하면, 복구 대책이 여야의 대선 공약으로 나올 수 있다고 본다. 지방소멸 방지는 여야 모두의 관심 사안이다.

그렇다고 정치권과 중앙정부만 바라보고 있자는 이야기는 아니다. 경북도와 피해지역 시·군의 역량만으로는 피해 복구가 불가능하지만, 지역 차원에서 할 수 있는 것들은 적극적으로 추진해야 한다. 이런 측면에서 경북도가 민간기업의 투자로 피해지역을 복구하는 방안을 강구중인 것은 매우 바람직하다. 또 의성군이 피해 지역에 투자를 추진하다 진행 상태가 주춤한 기업과 최근 다시 접촉하는 것도, 민간기업의 투자로 피해지역을 복구하려는 시도여서 의미가 있다.

이철우 지사는 산불 피해를 경북 발전을 위한 전화위복(轉禍爲福)의 계기로 만들겠다고 했다. 그러면서 이 지사는 산림지역의 원형복구보다는 지역 생산성을 높이는 혁신적 재창조를 강조했다. 말이 아닌 행동으로 옮겨진 혁신적 재창조를 통해, 이 지사의 표현처럼 산불과 싸워 이긴 '전화위복(戰火爲福)'이 되길 바란다.

김진욱 논설위원
기자 이미지

김진욱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오피니언인기뉴스

영남일보TV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

영남일보TV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