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창업 관심 생활업종 2023년 기준 3년 생존율 순위. <국세청 제공>
실생활과 밀접한 100대 생활업종 사업자가 창업 후 3년간 생존하는 비율이 절반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세청은 최근 5년(2019~2023년)간 100대 생활업종 통계를 분석해 창업 후 사업을 지속하는 비율(생존율)을 분석해 29일 국세통계포털에 공개했다.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100대 생활업종의 1년 생존율은 2023년 기준 77.9%로 나타났다. 2019년부터 2022년까지 상승세를 보이다 2023년에 다소 하락했다.
2023년 기준 3년 생존율은 53.8%로 집계됐다. 이는 2020년에 창업한 사업자 중 2023년까지 계속 사업을 한 자의 비율을 의미한다. 5년 생존율은 39.6%에 불과했다.
100대 생활업종 가운데 신규 사업자 수가 많은 창업 관심업종 20개를 분석한 결과에선 2023년 기준 1년 생존율이 높은 업종 1위는 △미용실(91.1%)이었다. 이어서 △펜션·게스트하우스(90.8%) △편의점(90.3%) 순이었다.
생존율이 낮은 업종은 △통신판매업(69.8%) △화장품 가게(74.2%) △식료품 가게(77.3%)였다.

임대 안내문이 붙은 대구 중구 동성로 로데오거리 상가. 영남일보DB
국세청은 “생존율이 낮은 통신판매업, 화장품가게, 식료품가게는 각각 30.2%, 25.8%, 22.7%가 창업 후 1년 내 폐업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고 전했다.
3년 생존율 또한 미용실(73.4%), 펜션·게스트하우스(73.1%)가 높았다. 교습학원(70.1%)도 70%를 웃돌았다. 이들 업종은 100대 생활업종 3년 생존율 평균(53.8%)보다 크게 높은 수준이다.
3년 생존율이 낮은 업종은 통신판매업(45.7%), 분식점(46.6%), 치킨·피자집 등 패스트푸드점(46.8%) 순으로 나타났다.
3년 생존율을 연령대별로 보면 40세 미만 사업자는 미용실(73.9%)에서 높았다. 40∼60세와 60세 이상은 펜션·게스트하우스에서 각각 73.8%, 76.3%로 가장 높았다.
생존율이 낮은 업종으로는 40세 미만은 분식점(41.9%)이, 40∼60세와 60세 이상은 호프주점이 가장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최미애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