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무원 사칭한 ‘위장 사기’ 기승…경북 전역으로 확산

  • 장석원·전준혁·박용기·손병현
  • |
  • 입력 2025-06-16 20:48  |  발행일 2025-06-16

명함 위조·허위 공문까지 동원…

행정 신뢰 악용한 조직적 수법 주의보

경북 지역에서 공무원과 관공서 직원을 사칭한 사기 행위가 잇따르면서 지역 사회의 우려가 커지고 있다. 단순한 명함 위조를 넘어, 관공서 직인을 도용한 허위 공문서까지 등장하고 있어 소상공인과 자영업자들이 주요 표적이 되고 있다.


지난 10일 구미시의 한 행정복지센터에는 "시청 직원을 사칭한 A씨를 확인해달라"는 문의가 쏟아졌다. 시내 식당 여러 곳이 A씨로부터 '시청 예약'을 빌미로 고급 와인 선구입을 요구받았고, 이에 응답하려던 식당들이 수상함을 감지해 민원을 제기한 것이다. A씨는 실존하지 않는 이름으로 명함을 위조해 공무원처럼 신뢰를 얻은 뒤 선입금을 유도하는 방식이었다.


비슷한 수법은 포항에서도 확인됐다. 북구 한 공구상가에 나타난 남성은 포항시 공문서를 내보이며 납품을 요청했지만, 공문에 찍힌 부서명과 직인, 담당자 이름은 모두 허위로 판명됐다. 이를 의심한 상인이 시청에 직접 확인하면서 사기 시도가 무산됐다.


예천군에서는 방역복 400벌 구매를 빌미로 특정 업체 납품을 유도하는 시도가 있었다. 심지어 군수 명의가 담긴 허위 공문서까지 등장했으나, 농약사 점주의 신고로 피해는 발생하지 않았다. 군 관계자는 "경북뿐 아니라 수도권과 충청권까지 확산된 조직적 사기"라며 경각심을 당부했다.


영주시에서도 유사한 사기 행위가 확인됐다. 공무원 명함을 위조하거나 시청을 사칭한 공문으로 업체에 견적을 요구하는 수법으로 접근했고, 시는 즉각 경찰에 수사를 의뢰했다. 시 관계자는 "최근에는 소방서, 교정기관까지 사칭 대상이 확대되고 있다"고 말했다.


이들 사기의 공통점은 '공공기관의 신뢰'를 무기로 삼는다는 것이다. 전화나 문자로 물품 구매를 요구하거나, 공문에 개인 연락처만 기재돼 있다면 반드시 의심해야 한다.


한 범죄예방 전문가는 "정식 계약 없이 고가 물품을 요구하거나 급한 결정을 유도하는 방식은 전형적인 사기 징후"라며 "공문서를 받았더라도 기관 대표번호를 통해 반드시 진위를 확인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각 지자체는 피해 예방에 나서고 있다. 영주시는 SNS와 홈페이지에 피해 사례와 예방 수칙을 게시하고 있으며, 예천군과 포항시도 유관기관과 공조해 대응을 강화하고 있다.



기자 이미지

장석원

주변에서 일어나는 소소한 이야기와 다양한 영상·사진 등 제보 부탁드립니다.
기사 전체보기
기자 이미지

전준혁

기사 전체보기
기자 이미지

박용기

기사 전체보기
기자 이미지

손병현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경북지역인기뉴스

영남일보TV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

영남일보TV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