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해평취수장. 영남일보 DB |
환경부가 24일 대구시·경북도·구미시·국무총리실·환경부·수자원공사가 지난 4월 체결한 '맑은 물 상생협정'과 관련, "해지 여부는 아직 결정된 바 없다"며 "숙려기간을 가질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환경부는 이날 대구시, 경북도, 구미시와 정부세종청사에서 회의를 가진 뒤 이 같이 밝혔다. 이해 당사자인 3개 시·도 역시 모두 대구 취수원을 구미 해평으로 옮기는 것을 골자로 한 '맑은 물 나눔과 상생발전에 관한 협정' 유지에 반대한 것으로 파악됐다. 사실상 협정이 공중에 떠버린 상황이 됐다.
회의에 참석한 이종헌 대구시 정책총괄단장에 따르면 ‘대구시는 대구 취수원을 구미 해평으로 옮기는 것을 골자로 한 협정은 구미시장 때문에 파기됐고, 귀책 사유는 분명 구미에 있다고 상기시켰다’며, 안동댐을 대구 취수원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환경부에 공식 제안했다.
경북도와 구미시는 구미보 하류인 해평으로 이전 협정은 반대하지만, 구미보 상류 이전을 전제로 협정효력 유지를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환경부는 3개 지자체의 새로운 2개 제안에 대해 난색을 보였다. 환경부 관계자는 "구미보 상류 이전은 상주와 의성이 새로 규제지역으로 편입될 수밖에 없어 대안이 될 수 없다"했다. 또 "해평 이전은 국가사업으로 이미 확정된 것이다. 다만 해당 지자체가 모두 반대하고 있어 숙려기간을 갖고 함께 고민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환경부는 숙려기간을 구체적으로 정하진 않았지만 이를 활용해 각 지자체를 설득하거나 현실적인 대안을 찾겠다는 의도로 보인다.
환경부는 특히 홍준표 대구시장이 추진하고 있는 안동댐의 취수원 활용에 대해선 "대구시가 관련 용역을 추진한다고 하니, 용역이 끝나야 입장을 정할 수 있을 것 같다"고 말했다.
회의를 마친 후 이종헌 단장은 "이미 끝난 사안에 대해 당장 오늘 파기니 결렬이니 발표하기 그러니까 그렇게 한 것으로 보인다. 대구시는 앞으로 안동시와 열심히 협의에 나설 계획"이라고 했다.
환경부는 물 문제의 복잡성을 감안해 각 지자체에 관련 언론 플레이나 SNS 자제도 당부한 것으로 알려졌다.
임성수기자 s018@yeongnam.com
구경모기자 chosim34@yeongnam.com

임성수
편집국 경북본사 1부장 임성수입니다.
구경모
정부세종청사 출입하고 있습니다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