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이 어제 여당의 반발에도 국회 본회의를 열고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의 해임건의안을 통과시켰다. 이 장관 해임건의안이 상정되자 국민의힘 의원들은 본회의장을 빠져나가 표결에 불참했다. 이 장관 해임건의안 통과로 여야의 충돌은 한층 강도를 더할 것으로 보인다. 정쟁(政爭)의 일상화가 불가피하다. 제발 '싸움박질'을 그만하고 중첩되는 경제 위기에 적극 대응해 달라는 국민의 명령을 무시한 꼴이다. 169석을 가진 거대 야당의 '힘자랑'은 정쟁을 유도하는 행위나 다름없다. 이 장관이 해임될 가능성이 낮다. 윤석열 대통령이 '수용 불가' 입장을 낼 게 불을 보듯 뻔하다. 민주당도 대통령의 거부권 행사를 예상했을 것이다. 그런데도 해임건의안을 밀어붙인 것은 수적 우위를 앞세워 싸우겠다는 뜻이다. 윤 대통령이 이 장관의 해임건의안을 거부할 경우 민주당은 이 장관에 대한 탄핵을 추진할 태세다.
민주당과 국민의힘은 '이태원 참사'와 관련, 국정조사에 합의한 상태다. 국정조사를 통해 진상을 규명하기로 했다. 진상이 규명되면 책임질 사람은 책임을 져야 한다. 법적인 책임은 물론 정치적 책임도 포함된다. 그게 정상적인 수순이다. 민주당이 이 장관의 해임을 고집하면서 국정조사도 불투명해졌다. 당장 국민의힘 소속 국회 '이태원 참사' 국정조사특위 위원들이 전원 사퇴 의사를 밝혔다. 기껏 만들어 놓은 협치의 틀이 깨질 위기에 놓인 셈이다. 일각에선 민주당이 이재명 대표의 '사법 리스크'에 쏠린 국민의 시선을 돌리기 위해 이 장관을 볼모로 삼았다는 소리도 나온다. 이재명 대표를 지키기 위해 정쟁을 유도했다면 국민의 심판을 받을 것이다.
민주당과 국민의힘은 '이태원 참사'와 관련, 국정조사에 합의한 상태다. 국정조사를 통해 진상을 규명하기로 했다. 진상이 규명되면 책임질 사람은 책임을 져야 한다. 법적인 책임은 물론 정치적 책임도 포함된다. 그게 정상적인 수순이다. 민주당이 이 장관의 해임을 고집하면서 국정조사도 불투명해졌다. 당장 국민의힘 소속 국회 '이태원 참사' 국정조사특위 위원들이 전원 사퇴 의사를 밝혔다. 기껏 만들어 놓은 협치의 틀이 깨질 위기에 놓인 셈이다. 일각에선 민주당이 이재명 대표의 '사법 리스크'에 쏠린 국민의 시선을 돌리기 위해 이 장관을 볼모로 삼았다는 소리도 나온다. 이재명 대표를 지키기 위해 정쟁을 유도했다면 국민의 심판을 받을 것이다.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