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기관 이전 10년 톺아보기] <4> 제자리 찾는 김천혁신도시

  • 박현주
  • |
  • 입력 2024-02-07 07:38  |  수정 2024-02-12 13:26  |  발행일 2024-02-07 제11면
공공기관 전문성 바탕 '車 튜닝·드론 신산업' 본격 성장세

2024011701000559700022761
공기업과의 협업이 활발한 김천혁신도시 전경. <김천시 제공>

한적한 촌락의 들판에 조성된 김천혁신도시(율곡동·2만3천600여 명)가 어느덧 김천 신시가지인 대신동(2만4천400여 명)과 인구에서 수위를 다툴 정도로 성장했다. 이전 공공기관 가운데 일부를 제외한 다수 기관의 성격에서 '확장성'을 의심받던 경북 김천혁신도시가 초기 침체에서 벗어나 성장의 활기를 띠고 있는 것이다. 김천시는 혁신도시의 목적인 '공기업 지방 이전을 통한 균형 발전'을 지향하고 있다. 지자체와 이전 공기업, 국회의원 등이 협력해 공기업의 특성과 기능을 토대로 한 각종 프로젝트를 활발히 진행시키고 있다.

올해 중 'K-드론지원센터' 착공하고
차 튜닝 안전기술원 2~3단계 추진 박차
공공기관·기업·지자체 상생협력 순조
인구수도 김천 신시가지 따라잡아

◆김천혁신도시는 어떤 곳?

김천혁신도시는 김천시 농소· 남면 일대 381만2천㎡(115만평)에 8천676억원을 투입해 수도권에서 이전해 오는 공공기관을 수용하는 한편 인구 2만6천명 규모의 신도시를 목표로 조성됐다.

2016년 3월 완공된 김천혁신도시에는 한국도로공사, 한국전력기술<주> 등 2개의 공기업과 준정부기관인 한국교통안전공단, 기타 공공기관인 대한법률구조공단·한국법무보호복지공단, 정부기관인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농림축산검역본부·국립종자원·조달청 조달품질원·우정사업 조달센터·공공 조달 역량개발원·기상청 기상통신소 등 12개 기관이 2013~2016년 사이에 이전해 왔다. 현재 국토안전교육원은 2025년 완공을 목표로 청사를 건립 중이다.

김천혁신도시 공공기관의 현재 근무 인원은 4천729명(승인 인원 5천600명)이며, 이들 중 4천98명(82.8%)이 주소를 김천으로 옮겨 왔다.

김천혁신도시를 품고 있는 율곡동은 김천의 읍·면·동 가운데 어린이와 젊은이가 가장 많은 곳이다. 김천시 인구(13만7천515명)의 17%(2만3천627명)를 차지하는 율곡동 주민 가운데 0~9세 사이는 3천682명으로, 지역 전체(8천635명) 같은 연령대의 42.6%를 차지할 정도로 압도적 우위에 있다.

청소년(10~19세)도 지역 전체(1만2천176명)의 26.1%(3천189명)로 가장 많으며, 20~29세 사이의 청년은 전체(1만2천473명)의 18.3%(2천284명)를 자치한다.

현재 율곡동에는 각급 학교(초등 3, 중 2, 고2)·공공도서관(율곡도서관) 등 교육시설, 경찰서, 소방파출소, 우체국 등 행정지원시설을 갖췄다. 하지만 의료·교통·학원시설 확충 등 정주 여건 개선이 시급한 과제로 꼽힌다.

◆초기의 김천혁신도시

2007년 5월, 김천혁신도시 기공식에 참석한 노무현 대통령은 "김천은 행정중심복합도시가 1시간, 전국이 2시간 거리 안에 있는 등 사통팔달의 입지를 갖추고 있다. 한국도로공사와 한국교통안전공단의 이전은 김천이 교통정보기술의 중심으로 도약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공공기관 이전으로 지역발전이 저절로 이뤄지는 게 아니라 지역 스스로 발전의 동력을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당초 정부는 공공기관 배치에서 △시·도별 발전 정도를 고려한 적정 배치 △지역 여건과 각 기관의 특성을 고려한 이전지역 결정 △가능한 범위 내에서 지역의 유치 희망기관, 기관의 이전 희망지역 등을 기본 원칙으로 153개 공공기관을 전국 10개 혁신도시에 나눠 배치하기로 했다.

그러나 김천혁신도시는 이 원칙이 제대로 적용됐는지에 강한 의문이 제기됐다. 전체 12개 기관 가운데 업무 성격과 조직 특성상 공기업 등에 비해 확장성에 한계가 있는 정부 기관 7곳, 공익적 기능의 기타 공공기관 2곳 등 '혁신도시 산업 생태계' 조성을 기대하기에는 무리가 있는 기관이 많았기 때문이다. 이 가운데는 정원이 4명인 초미니기관도 포함되는 등 김천혁신도시는 전국의 혁신도시 가운데 가장 많은 정부 기관이 배치된 채 출범했다.

당시 김천시 관계자는 "한국교통안전공단도 산하에 자동차연구원 등 확장성이 담보된 기관이 있으나 모두가 외지에 있다. 머리는 김천에 있고 몸통은 외지에 있는 형국"이라며 "농림축산검역본부 등 김천혁신도시 농업지원군 기관들도 다수의 관련 업체가 있으나 김천 유치가 쉽지 않다"고 고충을 토로했다. 여기에다 원전 설계 전문 공기업인 한국전력기술 협력업체 10여 곳이 정부의 탈원전 정책으로 일감이 급감하자 김천혁신도시클러스터 부지 입주 계획을 접는 등의 부작용도 겪었다.

2019년 기준으로 김천혁신도시는 기업 유치 실적(40개)이 제주 서귀포혁신도시를 제외한 전국 혁신도시 중 가장 저조한 데다, 클러스터 부지 분양률도 충북 진천·음성혁신도시 다음으로 낮은 52.8%에 머무는 등 고전했다.

기업 유치 상위권인 경남 진주혁신도시(434개), 광주·전남 나주혁신도시(391개), 전북 전주혁신도시(346개) 등과는 대비되는 모습이다.

◆변하고 있는 김천혁신도시

김천혁신도시 한국교통안전공단을 축으로 전개되는 모빌리티산업은 경북도·김천시와 공기업이 협업을 통해 만들어 가고 있는 김천의 신산업이다. 이들 기관의 협업은 지난해 12월 '자동차 튜닝안전기술원'과 '드론자격센터'가 잇따라 완공되는 등의 성과를 냈다.

김천시는 튜닝안전기술원을 중심으로 검사·평가·인증·생산·구매·장착·체험 등 튜닝 관련 모든 서비스를 제공하는 한편, 조성 중인 자동차 서비스 복합단지(29만2천㎡)에 관련 기업들을 유치함으로써 비수도권 튜닝 특화지역으로서의 입지를 다질 계획이다. 이를 위해 올해는 튜닝 안전기술원 2단계(전기차 튜닝 안전인증 기준마련 및 시험시설 구축)를, 2025년에는 3단계(자율 주행 기반 안전장치 시험 기준마련 및 시험시설 구축)를 착공하는 등 기반 확충에 전력을 쏟고 있다. 이와 함께 연구기관과 기업 등이 테스트 베드로 활용할 자동차 주행시험장(11만㎡)도 조성 중이다.

드론 부문에선 K-드론지원센터(1만7천300㎡)를 올해 중으로 착공, 비가시권 드론 등 다양한 기능의 드론을 개발하고 제조하는 등 드론자격센터와 함께 김천의 드론산업을 이끌어갈 양대 축으로 활용한다.

한국도로공사·경북도 등이 함께한 '남부권 스마트물류 거점도시 육성사업(스마트 물류센터)'도 공공기관·기업체·지자체가 참여하는 상생 협력사업의 모범사례로 꼽힌다. 도로공사와 경북도 등의 협업으로 완공된 물류센터(연면적 6천㎡)는 1층을 농산물 물류·물류기술·포장재 기업 등이 참여하는 물류센터로 임대해 시너지 효과를 높일 수 있게 했다. 2층은 드론·물류IoT·AI소프트웨어 전문기업 등에 임대해 테스트 베드로 활용하게 하는 등 생산성을 최대화했다. 윤상영 김천시 미래혁신전략과장은 "큰 틀에서 김천혁신도시를 통한 김천 발전 방안을 마련했다. 이를 세분화하는 한편 공기업의 전문성을 바탕으로 사업을 확대하는 게 앞으로의 숙제"라며 "지역과 협력한 수익 기반 창출이 혁신도시의 기능이고, 김천시와 김천혁신도시는 이를 충실히 이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박현주기자 hjpark@yeongnam.com

기자 이미지

박현주 기자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기획/특집인기뉴스

영남일보TV





영남일보TV

더보기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