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성] 공공예식장

  • 장준영
  • |
  • 입력 2024-04-03  |  수정 2024-04-03 07:03  |  발행일 2024-04-03 제27면

경제적 부담을 조금이라도 줄이거나 개성 있는 결혼식 또는 스몰웨딩을 원하는 예비 부부들로부터 한때 관심을 끌었던 공공예식장의 인기가 많이 시들해졌다. 기대했던 것만큼 경제적이지 못한 데다, 이런저런 불편이 주된 이유로 꼽힌다. 예식비용이 일반 예식장에 비해 조금 저렴하거나 엇비슷한 데다, 웨딩 전문업체를 끼지 않으면 웨딩플랜·음향·식사 등 신경 써야 할 일이 한두 가지가 아니기 때문이다. 취지는 물론, 운영의 묘를 제대로 살리지 못했다는 불만이 터져 나오는 이유다.

공공예식장 활용은 정부 차원에서 독려했다. 여성가족부는 2016년 11월 서울·부산·대구 등지의 전국 15개소를 '대한민국 작은결혼식 으뜸명소'로 선정, 발표하면서 분위기를 조성했다. 취지가 좋아서 반짝 주목을 받기는 했으나 지금은 15개소 중 절반 정도가 식장 운영을 하지 않고 있다. 또 기능은 유지하고 있어도 실제 예식이나 문의는 급감했을 정도로 존재감이 없다. 극히 일부에서 다양한 혜택 제공 등을 통해 장려하고 있지만 대부분 지자체는 별다른 관심조차 보이지 않고 있다.

저출산이 국가 차원의 현안으로 급부상하고 있는 가운데 예비 부부의 결혼식 부담을 완화하는 것도 하나의 의미 있는 정책이 될 수 있다. 가정을 꾸리려는 의지가 명확한 예비 부부가 공공예식장을 활용할 경우, 이들에 대한 적절한 지원은 천문학적인 예산을 투입해도 별다른 성과가 없는 다른 정책보다 효율성이 클 듯싶다. '탄생 응원 서울 프로젝트' 등 발 빠르게 대응하고 있는 일부 지자체의 노력이 부럽고 돋보이는 데는 그럴만한 이유가 있다.

장준영 논설위원

기자 이미지

장준영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오피니언인기뉴스

영남일보TV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

영남일보TV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