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지난 10일 경북도의회 원자력대책특별위원회가 제6차 위원회를 개최하고 활동 결과보고서를 대책했다.<경북도의회 제공> |
경북도의회 원자력대책특별위원회가 제347회 정례회 기간인 지난 10일 제6차 원자력대책특별위원회를 개최해 1년 9개월간의 위원회 활동에 대한 결과보고서를 채택했다.
원자력대책특위는 원자력발전의 안전성에 대한 우려와 함께 월성1호기가 조기 폐쇄, 신한울 3·4호기 건설중단 등으로 지역에 막대한 경제적 피해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돼 도민들의 원자력 안전에 대한 불안감을 해소하고 원전산업 발전을 위한 정책을 발굴·추진하고자 구성·운영됐다.
특히, 지난해 원자력 주요시설 운영 현황 및 안전실태 점검하기 위해 월성원자력발전소 및 저준위방사성폐기물 처분시설을 직접 방문, 실태를 확인했고, 혁신원자력 연구단지 조성 현장을 찾아 추진현황을 점검했다.
한국원자력연구원도 방문해 경북의 원자력 정책을 공유하고 SMR(소형모듈원자로) 관련 향후 발전 방향에 대해 논의하는 등 원자력 관련 대책 마련을 위하여 적극적인 의정활동을 펼쳐왔다.
특위는 또 3차례의 업무보고에서 경주 SMR 국가산단 조성, 울진 원자력수소 국가산단 조성, 원전지역주민 보호를 위한 원자력 방재 타운 조성 등 여러 국책사업 유치를 위한 전방위적 협력 및 지원을 집행부에 주문하면서, 지역 원전산업 활성화와 원전 정책개발 및 정부 정책 동향에 적극 대응해 나갈 것을 요청했다.
이날 회의에선 정경민 도의원이 대한민국의 원자력발전소의 절반이 경북에 있는 만큼 도에서 형식적인 업무처리가 아닌, 예산 및 관련 업무에 있어서 더 신중하고 깊이 있는 행정을 요구했다.
손희권 도의원은 경북이 원자력발전산업의 메카가 될 수 있도록 기존의 원전산업뿐만 아니라 SMR 관련 산업 생태계를 주도할 수 있는 대책 마련을 요청하기도 했다.
최덕규 위원장은 "경북에 원전 및 SMR 관련하여 현안문제가 아직도 산적해 있다"며 "원전의 안전성 확보와 더불어 미래 먹거리 산업으로서 지속적인 정책을 발굴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이어 그는 "특위 활동을 하면서 아쉬움이 남지만, 경북의 원전 관련 안전확보와 산업발전을 위해 앞으로도 도민 여러분의 지속적인 관심과 성원을 부탁드린다"고 덧붙였다.
피재윤기자 ssanaei@yeongnam.com

피재윤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