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축협 상호금융 대구·경북 공동대출 연체율 각각 19.82%·16.43%로 매우 심각"

  • 임호
  • |
  • 입력 2024-07-15 14:48  |  수정 2024-07-16 08:31  |  발행일 2024-07-15
지역내 공동대출 연체율 10%이상 조합도 경북 66개
농축협 상호금융 대구·경북 공동대출 연체율 각각 19.82%·16.43%로 매우 심각
더불어민주당 임미애 의원

대구·경북 지역의 농축협 상호금융 공동대출 연체율이 각각 19.82%, 16.43%로 매우 심각한 것으로 드러났다.

더불어민주당 임미애 (비례대표) 의원이 농협중앙회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4년 5월말 기준 공동대출 연체율이 10%를 넘는 지역은 대구, 광주, 대전, 경기, 강원, 충북, 충남, 경북, 제주였다. 이 중 대구, 경북, 대전은 2023년말부터 공동대출 연체율이 10%를 넘어섰으며, 충북도 9.4%로 10%에 근접한 모습을 보였다.

현황을 보면 연체율이 가장 높은 대구는 올해 5월말 기준 총 대출액은 5천746억6천만 원, 연체액 1천138억7천600만 원(연체율 19.82%)이었다. 연체율이 두 번째로 높은 경북의 대출액은 같은 기간 2조5천108억5천500만 원으로 연체액은 4천124억5천400만 원(연체율 16.43%)이었다.

2022년말까지는 대구와 경북을 제외한 대부분의 지역에서 공동대출 연체율은 2%를 넘지 않았지만 2023년말 들어 거의 모든 지역에서 5% 이상의 연체율을 기록했다. 특히 대구와 경북은 각각 13.71%, 10.7%의 연체율을 보이며 지역내 리스크 관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음을 보여줬다. 지역 내 공동대출 연체율 10% 이상 조합 현황 자료를 살펴봐도 올해 5월말 기준 공동대출 연체율 10% 이상인 조합 개수가 가장 많은 지역은 경북으로 66개소였다. 지역내 전체 조합 대비 비중이 가장 높은 곳은 대구로 63.6%였다.

임미애 의원은 "공동대출은 부동산 등의 투자를 위해 여러 조합에서 공동으로 나가는 거액의 대출인 만큼 부실이 생길 경우 그에 따른 피해는 개별 대출에 비할 바가 아니다"라고 경고했다. 이어 "부동산 경기 침체 등으로 인해 공동대출 연체가 폭증하고 있는데 지역조합이 위기를 넘길 수 있도록 중앙회의 책임있는 대책이 필요한 시점이며, 향후 공동대출 시행에 있어 부실 대출을 걸러낼 수 있도록 하는 안전장치 마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임호기자 tiger35@yeongnam.com

기자 이미지

임호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정치인기뉴스

영남일보TV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

영남일보TV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