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945년 8월16일 대구일일신문 지면.<대구문화예술진흥원 제공> |
대구근대역사관은 오는 9월29일까지 2024년 세 번째 작은전시 '1945년 8월 16일, 대구일일신문'을 역사관 1층에서 선보인다.
광복절을 맞아 기획한 이번 전시에서는 1945년 8월16일 대구에서 발행된 '대구일일신문'을 통해 광복 전후 대구의 상황을 엿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신문에는 당시 대구의 모습이 직접적으로 보도되지는 않았지만, 기사 내용에서 그날의 분위기와 상황을 살필 수 있다. 대구일일신문의 발행인은 일본인이었으며, 1941년부터 광복 직후까지 대구에서 발행된 유일한 신문이었다.
전시는 먼저 그날의 대구일일신문을 톺아본다. 신문 앞면에는 '평화 재건의 조서를 내리셨다'라는 제목이 있으며, 히로히토 일왕이 발표한 '조서(詔書)', '역사적 어전회의 열림', '내각 고유(告諭) 발표', 사설 '국가 최대의 고난을 극복하고', '스즈키 내각 총사직', '화평 교섭의 경과', '아나미 육군상 자결', '소련 정부 발표' 기사 등을 실었다. 8월 14일 일어난 여러 일들과 일본이 포츠담 선언을 수락하고 종전을 발표하기까지의 과정도 소개했다.
![]() |
1945년 8월16일 대구일일신문 전시 전경.<대구문화예술진흥원 제공> |
뒷면에는 '1억 일치단결 대국난(大國難) 극복 분투', '아베 총독 유고(諭告)', '참기 어려운 것을 인내하고 조국 부흥에 매진하자', '원자폭탄 정체', '트루만 성명', '이렇게 전쟁 종결, 교환된 외교문서', '카이로 선언 내용', '포츠담 선언 8개조 내용'과 대구형무소 간수 모집 등의 광고가 실려 있다. 1945년 8월16일 발행된 신문이지만, 보도 내용 어디에도 '항복', '광복', '해방'이라는 단어는 찾아볼 수 없으며, 일본이 세계 평화를 위해 종전을 선언한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 |
대구 동구 평광동 첨백당 앞 '광복 소나무'.<대구문화예술진흥원 제공> |
광복의 분위기를 느낄 수 있는 사진과 관련 자료도 소개한다. 대구 동구 평광동의 첨백당 '광복 소나무'와 1945년 8월19일 종소리에 해방의 감격을 느꼈다는 남산교회 '광복의 종', '부녀신문'에 보도된 1947년 8월 15일 달성공원에서 개최된 해방 2주년 기념식에 대해 전시한다. 또한, 최초 광복절 기념식이 6·25전쟁 중이던 1950년 8월 대구 경북도청(현 경상감영공원)에서 열린 사실 등도 소개한다.
임훈기자 hoony@yeongnam.com

임훈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